10'26 재보궐선거 결과에 따라 정치권에 메가톤급 파장이 일고 있다. 내년 총선과 대선의 전초전 성격으로 치러진 서울시장 선거에서 사상 처음으로 무소속 후보가 당선된 후폭풍이다. 기존 정치질서는 재편 수순을 밟게 됐고, 한나라당'민주당의 양당 체제는 사실상 의미를 잃어버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선거의 가장 큰 의미는 시민세력의 정치 전면 등장이다. 비록 야당들의 도움을 받기는 했지만 최대의 정치적 승리를 거둔 것으로 평가되는 박원순 서울시장 당선자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기성 정치권과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치권 일각에서는 내년 총선 이전에 이들 두 인사를 중심으로 한 제3정당 출현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물론 보수진영의 제3세력화 가능성도 공존한다.
기존 정당들은 쇄신의 소용돌이 휩싸이고 있다. 당장 서울시장을 내준 한나라당에서는 책임론이 비등하다. 결국 내홍 속에 분열의 길로 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대로는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필패라는 불안감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됐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2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이와 관련, "앞으로 당 개혁과 수도권 대책에 주력하겠다"며 "20∼30대 계층에 다가가는 정책과 소통의 장을 만들어 그분들의 마음을 얻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공감과 소통을 중시하는 디지털 노마드 정당으로 거듭나도록 노력하겠다"며 "더욱 국민 여러분의 뜻을 받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마땅한 대안이 없는 만큼 홍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가 사태를 수습하고 전열을 정비해야 한다는 현실론도 제기된다. 아울러 박근혜 전 대표가 직접 당을 맡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고, 이재오 의원 등 범친이계 주자들을 중심으로 대안을 모색하지않겠느냐는 시각도 있다. 여당 내 갈등이 격화될 경우 이 대통령의 탈당 필요성을 거론하는 주장이 나올 개연성도 없지 않다.
이번 선거에서 서울시장 후보를 내지 못한 민주당에도 거센 쇄신 바람은 불가피해 보인다. 박원순 후보의 승리로 '혁신과 통합'을 비롯한 시민사회측의 발언권이 강화되며 치열한 통합 주도권 경쟁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 등 수도권의 경우 물갈이 폭이 크겠지만 전통적인 텃밭인 호남지역 역시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민사회 단체 측이 호남지역 공천 배려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27일 국회에서 열린 고위정책회의에서 "민주당은 50년 전통의 야당이자 민주진보 진영의 맏형으로서 그에 걸맞은 역사적 책무를 다했는지 뼈를 깎는 성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박원순 야권통합 후보의 서울시장 당선으로 야권 대통합의 새로운 전기를 만들었다"며 "내년 총'대선에서 정권교체를 위해 더 큰 민주당으로 나아가라는, 통합에 박차를 가하라는 민심의 명령에 귀를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