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창 총선 불출마 배경..향후 거취는
자유선진당 이회창 전 대표가 21일 내년 총선 불출마를 전격 선언한 배경에는 표면적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동의안 처리 문제가 놓여있다.
피해분야에 대한 충분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상태에서 '선(先) 대책 마련, 후(後) 비준안 처리'라는 당론을 거스르면서까지 국회의 비준안 처리를 촉구하는 행위에 대해 정치적 책임을 지겠다는 것이다.
충분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했다면 비준안 처리를 반대해야 옳지만 과감한 개방을 요구하는 시대적 흐름에 역행해 비준안 처리를 저지한다면 더 큰 국익의 손실을 피할 수 없다는 소신을 지키겠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 전 대표의 불출마 선언은 내년 대선 재도전을 염두에 두고 정치적 승부수를 둔 것이라는 시각이 적지 않다.
이 전 대표는 지난 5월 대표직에서 사퇴한 이후 총선 불출마 선언을 고심해 왔다고 한다.
충청권을 대변해온 선진당의 지지 기반이 약화되고 있는데다 야권이 대통합을 통해 단일대오를 준비하고 있는 것과 달리 한나라당은 내부 분열이 가속화되는 등 보수 진영의 정권재창출 가도에 '빨간 불'이 켜졌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대권 주자로 다시 주목을 받으려면 '충청권 맹주'라는 지역주의적 이미지를 탈피하고 이를 위해 지역구를 과감하게 포기하는 결단이 필요하다는 전략적 판단도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 전 대표는 앞으로 대표를 포함한 당직을 맡지 않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이 전 대표의 불출마 선언은 단순히 선진당의 쇄신과 재건을 넘어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여권 일각에서 진행중인 '보수 대연합'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까지 가능하다.
이는 선진당이 한나라당의 직간접적인 보수대연합 언급에 대해 "내년 총선까지는 선진당 체제로 치를 것"이라고 분명한 선을 그어온 것과도 온도차가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벌써부터 이 전 총재가 '대(大) 중도신당론'을 전파하고 있는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과 협력할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이 전 대표의 불출마는 다른 정당에 비해 60대 이상 고령층이 많은 선진당이 내년 총선에서 '물갈이'로 대표되는 인적 쇄신을 가속화하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 전 대표 관계자는 "야권은 물론 여권 내에서도 정치지형의 큰 변화가 생기고 있다"며 "연말연초에 많은 일들이 벌어질 수 있고 이를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