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충청·전라·경상도 떡국, 함경·평안·황해도 만둣국

경기·강원 떡만둣국 '냠냠'

떡국을 먹어야 한 살을 더 먹는다는 말처럼 우리 설 차례상에 오르는 갖가지 음식 중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떡국과 만둣국이다. 환경과 역사가 다르고, 사람 사는 모습이 다르듯 떡국'만둣국의 종류와 조리법도 각양각색이다.

우선 떡국과 만둣국은 지리적으로 나뉜다. 함경 평안 황해 등 북 삼도지역에서는 설 차례상에 주로 만둣국을 올렸고, 충청 전라 경상 등 남 삼도에서는 떡국을 차렸다. 남과 북이 만나는 경기'강원도에서는 떡국과 만둣국을 모두 먹거나 아예 떡만둣국을 끓였다고 한다.

그런데 만둣국도 지역에 따라 재료와 조리법이 달랐다. 산지가 많은 북쪽 함경도에서는 설에 꿩만둣국을 끓였다. 꿩고기를 잘게 다져서 볶은 다음 부추 같은 야채와 함께 조물조물 버무려 소를 만들었다. 고소하면서도 담백한 맛을 쉽게 잊을 수 없다. '꿩 대신 닭'이라는 말도 여기에서 유래했다.

평양만두는 메밀이나 밀가루로 피를 만들고, 국물은 소고기의 양지와 사태를 넣고 말갛게 우려내 담백한 만두 맛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황해도 왕만둣국은 북방인의 호방한 기질을 닮았다. 투박하지만 큼직하고 푸짐한 것이 북부지방 음식의 특징이다. 돼지고기와 부추, 숙주 등에 갖은 양념을 넣어 소를 만들었지만, 두부는 넣지 않았다. 물컹한 두부가 식감을 떨어뜨린다고 생각했다.

개성에서는 조랭이떡국이 대표적인 설 음식이다. 조랭이떡국은 흰떡을 대나무 칼로 잘라 동글동글하게 만든 뒤 다시 대나무 칼로 문질러 조롱박 모양으로 만든다. 조선왕조가 들어선 뒤 박해받던 개성 사람들이 이성계에 대한 한을 잊지 못해 그의 목을 연상하면서 조랭이떡을 썰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황해도에서와는 달리 강원도 강릉에서는 두부떡만둣국을 먹었다. 동해 바닷물로 간을 맞춘다는 초당 두부로 유명한 강릉의 명성답게 황태 해장국에 큼직한 두부를 넣어 진한 국물맛을 더했다. 충청도에서는 떡을 찌는 과정을 생략하고, 수제비처럼 날반죽을 그대로 끓는 장국에 넣어 익혀 먹는 떡국이 유명하다.

전라도를 대표하는 것은 닭장 떡국이다. 닭장은 집에서 담근 조선간장에 닭고기를 썰어 넣은 뒤 졸여 낸 음식인데, 닭장은 항아리에 넣어 땅에 묻어 보관하다가 명절에 손님이 오면 급히 꺼내 국물을 내었다. 남해안 청정해역을 끼고 있어 굴로 유명한 경남 통영에서는 설 차례상에도 굴을 넣어 국물을 우려낸 굴떡국이 오른다. 바다 냄새 물씬 풍기는 굴 특유의 시원하고 깔끔한 국물맛이 특징이다.

하지만 세월에 따라 설 음식도 진화한다. 최근에는 친환경 농법으로 생산한 단호박(진노랑), 복분자(연보라), 쑥(녹색), 감(연노랑), 자색고구마(보라), 백년초(분홍), 흑미(검정) 등을 이용해 개발한 '무지개 가래떡'이 전국의 소비자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

석민기자 sukmin@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