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도용복의 지구촌 모험] (19)화약고에 핀 꽃, 크로아티아

완벽하게 보존된 중세도시…평화와 고요가 깃든 동유럽 낙원

현대 남성의 복장을 대표하는 넥타이의 발상지는? 정답=크로아티아.

넥타이는 약 300년 전 크로아티아의 스카프에서 유래됐다. 외세의 침략이 많아 처음에는 아군임을 표시하기 위해 만들었던 식별표였는데 이 스카프가 프랑스에서 유행하면서 전 세계로 퍼져 나갔다고 한다.

동유럽의 숨은 보석과도 같은 아름다운 나라, 크로아티아는 예전에 유고슬라비아라는 나라에 포함돼 있었다. 공산정권이 붕괴되던 1990년대 초에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마케도니아공화국 등 4개국이 먼저 유고슬라비아 연방에서 독립했다. 그 중 슬로베니아가 연방군과의 짧은 전쟁에서 승리하며 제일 먼저 독립했고,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는 정국이 혼란한 상태에서 수많은 전쟁과 민족 간의 학살이 있었다. 평화적으로 독립한 나라는 마케도니아공화국뿐이었다. 남아있던 유고연방에서 2006년 몬테네그로가 독립하면서 유고연방은 총 6개 국가로 나누어졌다.

◆중세와 현대가 만나는 수도 자그레브

1998년 프랑스 월드컵에서 3위를 차지하기 전까지 크로아티아는 '유럽의 화약고'라 불리던 발칸반도에서 내전이 끊이지 않는 위험한 국가로만 알려져 있었다. 전쟁의 흔적이 많이 남아있어 관광을 가기에도 적합하지 않을 것 같지만 실상은 유럽에서 아름다운 자연을 가진 휴양지로 각광받고 있다. 죽기 전에 꼭 한 번 가봐야 할 지상낙원이다. 게다가 고대 그리스, 로마시대의 궁전 등 유적들이 산재해 있어 고고학적 의미도 큰 여행지다.

크로아티아에 도착하기 전, 여러 가지 선입견을 버리지 못했다. 수도 자그레브 국제공항에 도착했을 때, 우리나라의 지방공항만 한 규모에 눈길을 끌 만한 시설도 없었다. 유럽의 변방, 오랫동안 내전을 겪은 나라라 그런가 보다 여겼다. 하지만 자그레브 시내로 들어가면서 생각은 180도로 바뀌었다. 중세도시 분위기가 넘치는 옛 시가지는 평화로움과 고요함이 깃들어 있고, 상업지구인 신시가지는 활기찬 분위기에 현대적 건축물들이 구시가의 중세 건물들과 서로 대비되면서도 아주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뤘다.

구시가지 산책은 아주 운치 있는 일이다. 구시가지를 거닐며 만난 크로아티아 사람들은 아주 친절했다. 아직은 동양인 관광객이 많지 않은 탓인지 약간의 호기심이 섞여 더욱 친절하게 대했다. 관광자원은 유럽의 여느 선진국 못지않지만, 관광대국이라는 자국민들의 자존심이나 콧대는 별로 없다.

◆진정한 낙원, 두브로브니크

크로아티아에서는 수도 자그레브보다 두브로브니크가 관광도시로 더 유명하다. 크로아티아의 최남단인 이곳은 예로부터 '아드리아해의 진주'라 불렸다. 아드리아해를 사이에 두고 이탈리아와 마주 보고 있는 항구도시로 역사가 아주 긴 도시이다. 완벽하게 보존된 17세기 중세도시를 보려면 두브로브니크로 가면 된다. 더욱 놀라운 점은 아름다운 중세의 건물에 아직도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름다운 자연 풍광과 어우러져 있는 중세도시는 말로 표현하기 힘들 정도로 훌륭한 예술품 그 자체다.

두브로브니크는 7세기 중반부터 사람들이 살기 시작해 베네치아 공화국의 주요 거점도시 중 하나였다. 지중해의 해상도시로 번성했지만, 1557년 지진으로 인해 심하게 파괴되었고 복구 후 유고슬라비아 내전으로 또다시 피해를 입었다. 종전 이후 유네스코 등 국제적인 지원에 의해 현재의 모습으로 재건되었다. 아일랜드의 극작가 버나드 쇼가 '진정한 낙원을 찾으려면 두브로브니크로 가라'고 했을 정도로 눈부시게 아름다운 이곳은 유럽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휴양지 중의 하나다.

두브로브니크의 아름다움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 구시가지와 아드리아해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산 정상이다. 구시가지를 감싸고 있는 25m 높이의 견고한 성벽 위를 거닐다 보면 절벽으로 부서지는 하얀 파도와 파란 바다가 마치 시간이 정지된 것처럼 펼쳐진다.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구시가지로 들어오면 하얀 벽면에 빨간 지붕의 건물들과 석회석으로 잘 정돈된 중앙광장, 그리고 좁은 길과 돌로 만들어진 경사진 길들이 마치 영화의 세트장 같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

계단 난간의 손잡이 하나에도 장식을 곁들여 눈길이 가지 않는 곳이 없다. 약 200m의 중앙로는 1시간 남짓이면 둘러볼 수 있지만 작은 상점을 구경하면서 이리저리 걸어 다니다 보면 몇 번을 걸어도 또 걷고 싶어진다.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성 외곽에는 여전히 사람들이 살고 있고, 중심거리는 상가로 되어 있다. 고딕과 르네상스, 바로크양식의 교회, 수도원, 궁전 등이 잘 보존된 구시가지 전체는 197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성 밖으로 나가면 초록빛 바다에 떠 있는 하얀색 요트와 배들이 선명하게 눈에 각인된다. 크로아티아의 아드리아해 연안에는 무수히 많은 섬이 있지만 대부분이 아직 원시상태에 머물러 있다. 국가 면적은 넓지 않아도 아드리아해를 따라 길게 자리를 잡고 있어 해안선의 길이가 1천800㎞ 가까이 되고, 섬까지 포함하면 5천800㎞나 된다. 최근 아드리아해 연안 휴양지들은 전 세계 피서객들로부터 여름 휴양지로 각광받고 있다. 이들 휴양지는 멋진 바다와 에메랄드빛 푸른 물결만 자랑하는 것이 아니라 고대 로마시대의 유적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성벽으로 둘러싸인 중세풍 건물들도 잘 보존되어 있어 여행자들에게 찬사를 받고 있는 것이다.

글'사진 도용복 대구예술대 특임교수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