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포스트 2011' 사업, 차질 빚는 이유 고민해 보아야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성과를 이어가고자 대구시가 벌이는 '포스트 2011'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 그중 하나인 'U-육상로드' 사업은 감사원으로부터 부적정하다는 통보를 받았다. 이 사업은 18억 5천만 원의 시설비와 연간 4천500만 원의 유지비가 들어가는 전자태그 단말기를 통해 개인의 운동 정보량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이용률이 1.9%에 불과해 수요 예측이 잘못된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트 2011'의 핵심 사업인 대구육상진흥센터의 준공도 미뤄지고 있다. 애초 지난해 말 준공될 예정이었지만 문화재 발굴 공사로 말미암아 올 10월로 연기됐고 사업비 마련이 여의치 않아 다시 내년 5월로 늦어질 가능성이 크다. 육상진흥센터는 실내육상경기장과 육상아카데미 등을 갖춰 실내육상대회 개최, 국내외 육상팀들의 전지훈련 유치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구시는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성공을 인상적으로 평가한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으로부터 '국제육상도시'로 선정됐다. '포스트 2011' 계획은 그에 걸맞게 대구를 '육상의 메카'로 만들려는 것이나 세부 사업들이 부적정하다는 평가를 받거나 차질을 빚음으로써 난관에 봉착했다. 이 시점에서 해당 사업들을 면밀하게 재검토하고 필요하다면 재조정해야 할 상황이다.

대구시는 'U-육상로드' 사업의 사례에서 보듯 사업 추진에만 치중하다 현실적으로 뿌리내릴 수 있을지를 파악하는 데에는 소홀하지 않았는지 뒤돌아봐야 한다. 육상진흥센터 사업은 준공이 늦어지는 것과 별개로 건립 이후 제대로 효과를 거두기 위한 마케팅 계획이 잘 짜여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마라톤 코스 명소화, 가상 스포츠 체험관 구축 등 다른 '포스트 2011' 사업도 중간 점검을 해볼 필요가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