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가 지난 2월 학교 폭력 대책을 발표하고 나서, 학교 폭력 신고 전화인 117에 신고 건수가 크게 늘었다. 경찰에 따르면 1월 616건에서 4월에는 3천592건으로 6배 가까이 됐다. 피해자가 직접 신고한 건수도 1월 27.8%에서 지난달은 59%나 됐다. 건수와 피해자 직접 신고가 늘어난 것은 정부의 방침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뜻도 있지만, 그동안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하고 고민만 한 학생이 많다는 뜻이기도 하다.
반면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 698만여 명 중 약 10%가 학교 폭력을 당했거나 목격했다는 통계에 비하면 신고 건수가 턱없이 적다. 아직도 신고를 꺼리는 사례가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부분이다. 학교 폭력의 뿌리는 캐고 들어갈수록 깊고 넓다. 외국도 예외가 아니어서 최근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교육장관회의가 채택한 '경주선언문'에도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사회적'감성적 능력 배양이 한 과제로 담겨 있다.
학교 폭력을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의 하나는 교사와 학교의 조직적인 은폐를 막는 것이다. 정부는 학교 폭력을 은폐하는 교사를 파면까지 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하고, 각 교육청도 징계 수준을 높였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경남 김해의 한 여학생이 발표한 남동생 이야기나 경기 이천의 한 중학생의 사례에서 나타나듯 학교는 사태가 발생하면 먼저 감추기에 바쁘다. 학교 폭력을 가장 먼저 인지하고 해결 노력을 해야 할 교사와 학교가 은폐부터 하려 한다면 이 문제는 절대로 풀 수 없다. 또 정부와 교육청도 학교 폭력이 잦은 학교와 학교장을 문책만 해서는 안 된다. 학교 폭력은 감출 것이 아니라 공개하고 학생과 학교, 가정과 지역사회가 함께 해결 노력을 해야 줄일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