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양금동 수해현장을 찾은 김천대 학생들이 가재도구를 들어내는 등 복구활동에 땀을 흘리고 있다.
태풍 '산바'가 휩쓸고 간 김천의 수해 현장에 온정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
24일 김천 지역은 민간인 자원봉사자 등 8천여 명과 중장비 1천500여 대가 동원돼 물에 잠긴 가재도구와 유실된 제방을 복구하고 쓰러진 벼를 일으켜세우는 등 태풍 피해 복구에 총력을 기울였다.
앞서 21일에는 피해소식을 듣고 경기도청 공무원 100여 명이 김천 감문면 수해지역을 방문해 피해 복구에 힘을 보탰다. 또 주말에도 LH 직원 230여 명과 제50사단 장병 200여 명 등이 농소면 피해농가에서 비지땀을 흘렸다. 가전제품과 차량, 보일러 관련업체들은 상주하며 안전점검과 제품수리 등 무상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앞서 태풍이 휩쓸고 간 다음날인 18일에는 김천대 소방학과'치유선교복지학과 학생 100여 명이 김천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양금동에서 복구지원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이들은 강의를 뒤로하고 복구현장으로 달려와 흙탕물을 뒤집어쓴 가재도구를 집 밖으로 들어내고 각종 쓰레기를 치우는 작업을 도왔다. 복구활동에 참여한 양성민(20) 씨는 "TV를 볼 때보다 여기 와보니 피해가 더 심한 것 같다. 가구'농자재 등을 들어내는 데 힘이 들지만 도움이 돼 보람있다"고 말했다. 단비봉사단 등 김천시 7개 봉사단체도 태풍피해 복구 현장에서 수해 주민들을 돕는 데 팔을 걷어붙였다.
도움의 손길이 이어지면서 주택'상가 침수 피해가 가장 컸던 양금동 지역은 예전 모습을 다시 찾아 가고 있다. 도로와 흙 더미가 거의 정리되었고 상가들도 속속 영업을 재개하기 시작했다. 유실된 도로'하천 등도 응급복구를 마쳐 추가 피해발생 우려는 사라졌다. 양금동 피해 주민 김재수(73) 씨는 "10년 전 태풍 '루사' 때도 침수 피해를 입었고, 또다시 닥친 재앙에 실의에 빠져 있었는데 자원봉사자들이 도와줘 힘을 얻었다"고 말했다.
한편 김천은 태풍 '산바'가 몰고 온 집중폭우로 도로'하천 등 294개소의 공공시설과 주택 314동, 농경지 1천181㏊가 물에 잠기는 등 501억9천만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