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는 모두 9이닝으로 정해져 있고 공수교대 시에는 최대 2분이 소요된다. 자리바꿈의 틈새에 주어지는 2분마다 방송매체는 광고를 하는데 방송 전후와 투수교체 시기까지 포함하면 전부 20여 회 이상을 활용할 수 있다. 시간으로는 40분 이상에 이른다. 야구에만 존재하는 이 시간을 통해 연간 엄청난 광고수익을 올리는 것이다.
그리고 이 광고 수익 덕분에 프로야구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큰 수익을 얻는 방송매체와 함께 하면서 오늘날 프로야구는 생활의 일부로 여겨질 정도로 발전했다.
하지만 방송매체 때문에 야구 본연의 제도가 흔들리기도 한다.
플레이오프는 정규리그가 끝난 후 벌어지는 번외경기였기 때문에 처음에는 양대 리그의 챔피언끼리 붙는 자존심 대결에 가까웠다.
그러나 1905년부터 월드시리즈로 정착되면서 자연스럽게 상업성을 갖추게 됐다.
양대 리그의 우승팀끼리 맞붙는 메이저리그의 결승시리즈니 당연한 결과였고 전 세계가 주목하는 이 대결을 방송매체가 그대로 둘 리 만무했다.
그들은 최고의 대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을 최대한 끌어올리려고 했다.
이런 차원에서 90년 동안 이어온 제도에도 변화가 생겼다. 두 팀만 월드시리즈에 오르면 나머지 지역 팬들의 관심이 떨어지니 시리즈 진출 팀을 결정하는 방식을 바꾸자는 것이었다. 제도를 바꾸어 결정전에 최대한 많은 팀이 출전하면 미국 전역에 걸쳐 최대한 많은 호응도를 끌어낼 수 있다는 취지였다.
결국 1995년 양대 리그에서 동부와 서부, 중부로 나눈 지구제를 도입했다. 이어 지구 2위권 팀 중 승률 1위 팀이 한자리를 차지하는 와일드카드 제도도 병행했다. 이렇게 해서 와일드카드로 오른 팀과 지구 1위 팀이 맞붙고 나머지 두 팀이 맞붙는 첫 플레이오프전(5전3선승제)이 바로 디비전시리즈가 된 것이다.
그리고 디비전시리즈에서 승리한 팀들끼리 맞붙는 경기를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7전4선승제)라 하고 여기서 승리한 팀이 월드시리즈에 진출하는 것이다.
결국 선수와 팬, 방송매체 모두에게 윈-윈(win-win)이 되면서 새로운 제도로 자리 잡았지만 모두가 흥행이란 상업성에 기초한 것이었다.
우리나라는 원년부터 전'후기제를 시행하다 팬 호응도에 비중을 두어 1989년부터 준플레이오프라는 특이한 제도를 채택했다.
리그 4위가 챔피언도 될 수 있는 어처구니없는 제도였지만 오늘에 이르러 어느덧 익숙해진 탓인지 팬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 때문에 길고 긴 전투 끝에 얻은 리그 우승의 진정한 가치는 희석되어 버렸다.
133경기를 치르며 얻은 1위의 명예가 포스트시즌의 인기에 가려진 것이다. 흥행을 위해 불가피한 선택일지라도 페넌트리그야말로 프로야구의 진정한 가치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야구해설가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