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朴 "경제성장률보다 고용률 지향"-文 "법정노동시간 줄여 고용 확대"

일자리 공약

박근혜 후보는 자신의 '창조경제론'을 통해 '일자리 공약'을 제시했다. 박 후보의 창조경제론은 "상상력, 창의력, 과학기술에 기반한 새로운 경제발전 패러다임"이다. 추격형 경제에서 선도형 경제로 체질을 바꾸고, 경제성장률보다는 고용률을 지향하며, 양적 성장보다는 질적 성장을 추구하자는 것이다.

과학기술을 산업에 접목시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박 후보는 ▷과학기술과 IT(정보기술)를 활용한 일자리 창출 ▷소프트웨어 산업의 미래성장산업 육성 ▷창업국가 건설 ▷스펙 초월 채용시스템 정착 ▷청년들의 글로벌시장에서 일자리를 찾는 'K-무브(Move)' 등으로 나타난다. K-무브는 청년의 해외취업 기회를 넓히고자 코트라(KOTRA)와 코이카(KOICA)의 현지정보를 바탕으로 해외 인력채용 데이터베이스를 운용한다는 것이다.

박 후보는 "대학에 창업기지를 건설하고 창업교육을 통해 청년창업가를 양성할 것"이라며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을 통섭한 융합인재를 길러내고, 은퇴 전후의 경영'기술인력을 중심으로 실버창업보육센터를 운영하여 이들의 창업을 정부가 지원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박 후보는 ▷민'관 합동 청년취업센터 설립 ▷실습 위주의 맞춤형 취업교육 ▷양성된 인재의 '인재은행' 등록과 취업지원 ▷취업교육 멘토확보를 제시했다.

박 후보는 창의적 융합 인재 육성을 위한 미래창조과학부 신설도 공약으로 내걸었다.

문 후보는 일자리 만들기 정책과 관련해선 '만나바'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좋은 일자리를 '만'들고 법정노동시간을 줄여 일자리를 '나'누는 한편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바'꾸겠다는 구상이다. 양과 질 모두에서 국민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싶다는 의중을 드러냈다.

문재인 후보는 고용창출과 관련 4일 진행된 TV 토론회에서 "비정규직 문제 해결은 좋은 일자리 만들기 차원에서도 필요하고 경제민주화 위해서도 필요한 시대적 과제"라고 규정했다.

문 후보는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재임 중 공공부문 40만 개, 정보기술'융합기술'문화예술 등 창조산업 50만 개, 여가산업 20만 개, 2030년까지 탈원전'신재생에너지 분야 50만 개의 일자리를 각각 창출하겠다고 약속했다. 일자리 숫자를 충분하게 늘리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문 후보는 ▷대통령 직속 국가일자리위원회 및 지역별 일자리청 설치 ▷실 노동시간 단축 및 교대제 개편으로 일자리 나누기 ▷공공부문 상시업무 비정규직의 정규직 강제 전환 ▷고용평등법 제정해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원칙 규정 ▷정년 60세 도입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서상현'유광준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