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재외국민 높은 투표율, 국내로 이어져야

헌정 사상 처음으로 시행된 재외국민 대통령 선거 투표율이 71.2%를 기록하며 11일 마감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인 신고'등록을 마친 재외국민 22만 2천389명 중 15만 8천235명이 투표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엿새가량의 투표 기간에 재외공관 등에 마련된 투표소에 가기가 만만찮았지만, 하루 생업을 포기하거나 비행기를 타고 가 투표했다는 등 감동적인 사연들이 넘쳐났다.

투표 환경이 열악한데도 높은 투표율을 기록한 것은 대선에 대한 재외국민 사회의 관심과 참여가 그만큼 뜨겁다는 것을 반영한다. 재외국민 투표는 선거인 등록 절차를 거친 사람만 참여하기 때문에 이번 투표율은 223만 3천600여 명으로 추정되는 전체 재외 유권자 수를 기준으로 하면 7.1% 정도에 그친다. 하지만, 지난 4'11 총선 때 45.7%의 재외국민 투표율보다는 25.5% 포인트나 높아 의미가 작지 않다.

재외국민 투표는 시행 전 고비용 저효율 구조라는 비판이 일었으며 교민 사회의 분열과 반목 등 부작용이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됐다. 그러나 이번 대선 재외국민 투표는 큰 불상사 없이 진행됐으며 투표율도 높아 좋은 결과로 나타났다. 앞으로 온라인을 통해 선거인 등록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투표 참여의 편의를 높이는 제도적 보완을 통해 투표율을 더 끌어올리도록 해야 한다.

재외국민 투표의 높은 열기가 국내 유권자들에게도 전달되길 바란다. 투표를 마친 재외국민은 고국의 유권자들에게도 적극적으로 투표하기를 당부했다. 재외국민의 당부가 아니더라도 중앙선관위가 시행한 유권자 의식 여론조사에서 10명 중 8명이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냈다. 유권자들의 투표하려는 의지가 투표장으로 이어져야 국가와 국민의 미래도 활짝 열릴 수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