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이 끝나자마자 밀가루, 소주, 콩나물, 두부 등 주요 제조 식품 가격이 일제히 오르고 있다. 특히 밀가루나 소주의 경우 빵, 과자, 라면 등 다른 품목과 외식비의 연쇄 인상으로 이어져 물가의 전반적 인상을 불러올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지난 3분기 전체 소비 중 식료품비 비중이 12년 만에 최고를 기록할 정도로 식품비 압박을 받고 있는 서민 가계의 고통은 더욱 커지게 됐다.
식품 업체들의 가격 인상 명분은 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이다. 민생 안정 차원에서 대선 전까지는 인상을 자제했으나 원자재 시세가 너무 올라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설명은 자신들에게 유리한 사실만 내세운 소비자 기만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물가에 큰 파급 효과를 미치는 유가 안정세는 왜 감안하지 않느냐는 것이다. 국내 유가는 이달 둘째 주 기준 13주 연속 하락했다.
게다가 환율도 하락해 원자재 수입 가격도 그만큼 낮아졌다. 생산자물가(전월 대비)가 10월(-0.7%), 11월(-0.6%) 두 달째 하락하고 있는 데서도 잘 나타난다. 기름 값과 환율 하락은 식품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그만큼 상쇄하는 효과를 지닌다. 제조 식품의 가격을 조정하려면 이런 상쇄 효과도 마땅히 반영해야 한다.
대선이 끝나길 기다렸다는 듯이 가격을 일제히 인상한 것은 현 정부의 임기는 끝나가고 다음 정부는 아직 들어서지 않는 '공백기'를 노린 측면이 강하다. 그래서 정부의 행정력이 상대적으로 느슨해지고 국민의 관심이 대선에 쏠린 틈을 탄 꼼수라는 비판도 나온다. 이는 불경기가 몰고 온 고통의 분담 차원에서도 무책임한 처사다. 식품 업계는 원자재 가격 상승을 자체 흡수하는 노력부터 기울인 다음 소비자에게 인상을 요구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