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박근혜 첫 총리, 非영남·非정치인 경제전문가 유력

내년 2월 출범할'박근혜 호'의 첫 국무총리 자리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역대 정권마다 첫 총리의 자리는 무시할 수 없는 자리였지만 특히 이번 새 정부의 총리는 위상이 대폭 강화할 전망이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선거기간 '제왕적 대통령제' 폐단을 막기 위해 대통령 인사권을 분산시키고 헌법에 보장된 총리의 권한과 책임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방안인 '책임총리제'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구체적으로 3배수 정도의 국무위원 제청권을 실질적으로 보장, 총리의 제청에 따라 대통령이 국무위원을 임명하는 방안을 제도화하겠다는 것이다.

박 당선인의 총리 콘셉트는 아직 드러난 게 없지만, 그가 줄곧 강조했던 대통합'대탕평 차원에서 접근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다. 총리 인선만큼 대통합의 의지를 확실하게 보여주는 카드도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박 당선인 출신지역인 영남보다는 비(非)영남권 인사가 발탁될 가능성이 크다. 또 첫 총리는 '경제 위기 극복'이 가장 큰 임무인 만큼 정치인을 배제한 경제전문가를 모셔올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박 당선인은 선거 기간에 매일신문 등 한국지방신문협회와의 인터뷰에서 "총리는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국민을 통합하는 데 역량과 덕망을 갖춘 분이라면 좋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때문에 정치권에선 '호남총리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여기에 '비정치인', '경제전문가' 등의 조건도 함께 따라붙고 있다. 그래서 전북 출신의 진념 전 재경부 장관, 역시 전북 출신인 강봉균 전 재경부 장관, 안철수 전 무소속 대선 후보의 멘토 역할을 했던 이헌재 전 재경부 장관 등의 이름이 가장 많이 거론된다.

새누리당 한 핵심 당직자는 "당 안팎에서는 첫 총리에 대해 '비영남권 출신', '정치인이 아닌 경제전문가' 등의 말이 많다"며 "특히 박 당선인은 한번 약속한 것은 반드시 지킨다. 이번에 출범할 새 정부의 총리는 권한이 역대 어느 총리보다 보장되고 위상도 자연스레 강화되는 '힘센 총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