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보기 드문 함박눈이 나의 상담뜨락에 소담스럽게 내린 날이었다. 하늘에서 곱게 내리는 백설의 눈꽃들은 마치, 결혼의식처럼 경건하기만 했는데, 어느 중년부부 한 쌍이 이 고요한 시공간을 가르며 상담뜨락에 들어섰다. 요즘은 과거와는 달리, 배우자와의 성격 차이라는 명분으로 부부갈등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이 부쩍 많아졌다. 그 부부 역시, 비통한 심정으로 "우리는 각자의 성격과 행동에 끌려서 결혼했는데… 지금은 그것들 때문에 갈등하고 불행하게 살고 있습니다" 하며 말문을 열었다.
결혼이란 두 사람의 결합에서 더 나아가 두 가문의 결합이라 하는 편이 더 나을 듯싶다. 이는 결혼생활에서 부부만의 생각으로 살기보단 은연중 원 가족의 심리적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그래서 각자가 다른 관점으로, 각자 다르게 만들어진 성격의 구조로 부부가 상호작용한다. 부부 뒤에서 보이지 않는 두 가문의 가치와 문화가 날마다 만나니 얼마나 사는 것이 복잡다단할까.
19세기 초 시대적 철학을 이끌었던 자연철학운동의 관점을 빌려 은유해 보면, 서로 다른 환경에서 만들어진 부부 심리내적 에너지들은 끊임없이 결혼생활에서 활성화되고 소멸하면서 상호 충돌을 하게 될 것이다. 부부가 가진 두 문화가 서로 충돌을 통해서 서로 형태를 바꾸고, 바뀐 형태들은 소멸하거나 다시 충돌을 하는 것이다.
어쩌면 '부부 간 갈등'은 없애기보다는 '잘 다투어 가는 방법'이 필요한 것일지도 모른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행복한 결혼은 '만들어 가는 하나의 과정이지 잘 포장되어 배달되는 선물이 아닌 것일 게다'.
결혼생활은 다투지 않고 평탄하게 가야만 하는 것만은 아니다. 필요하다면 충돌을 하되, 사랑할 수 있는 멋진 충돌법을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 다투되, 서로에게 무엇을 해주기를 바라는지를 가르쳐 주면서 싸우는 것이 바로 멋진 충돌법이 아닐까.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