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검찰의 신세계그룹 수사, 국민이 지켜본다

신세계그룹의 '계열사 빵집 부당 지원' 사건에 대해 검찰이 전담팀을 꾸려 강도 높은 수사를 벌이고 있다. 지난해 11월 신세계 본사 및 계열사 6곳을 압수 수색한 검찰은 총수 일가의 배임 혐의를 입증할 증거를 상당 부분 확보하고 조만간 정용진 부회장을 소환 조사할 방침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신세계는 기업 이미지 실추뿐만 아니라 최고 경영자가 사법적 단죄를 받을 수 있는 위기를 맞았다.

검찰의 이 같은 발빠른 수사를 두고 검찰 주변에서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경제 민주화 공약과 긴밀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즉 박 당선인의 경제 민주화 의지를 사법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실천하려는 행보라는 것이다. 이에 앞서 박 당선인은 지난해 12월 26일 중소기업중앙회를 방문해 "부당한 납품 단가 인하. 기술 탈취, 중소기업 영역 침해 등 대기업의 횡포와 불공정 거래를 철저하게 근절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바 있다.

신세계에 대한 검찰의 수사가 국민의 이목을 끄는 것은 이런 점 때문이다. 현 정부 내내 '동반 성장'과 '공생'을 강조했지만 실제 성과는 미미했던 것이 사실이다. 동네 빵집이 망해나가던 2010년에 신세계 그룹 오너와 그 아들인 대표이사가 계열사 빵집을 지원하라고 지시한 것을 밝혀낸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 결과는 이를 잘 보여준다.

이런 상태가 앞으로도 계속되면 우리 사회의 양극화는 더욱 심화되고 이로 인한 사회 분열은 치유 불가능한 지경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점에서 신속한 해법 마련이 필요하다. 검찰의 신세계 수사 결과는 박 당선인의 경제 민주화 의지의 진정성 여부를 가늠하는 시금석이 될 수 있다. 검찰은 다시는 이 같은 불공정 행위가 재발되지 않게 한다는 각오로 철저하게 수사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