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여 전 베트남에서 구미 옥계동으로 시집온 딩티응앗(25) 씨는 2개월 전에 4살, 3살짜리 아들을 데리고 구미 옥성면의 대둔사(주지 진오 스님)로 들어와 생활하고 있다. 지난해 9월 남편(40)이 병환으로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모아 둔 재산도 없고, 월 수입이 전혀 없는 상태인데다 시댁의 무관심으로 결국 구미의 이주노동자 쉼터를 찾았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진오 스님의 손에 이끌려 절 생활을 시작하게 된 것. 딩티응앗 씨는 우리말도 서툴고, 우리나라 국적조차 없는 어린 아이 둘을 데리고 제대로 자립해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안타까운 상황이다.
2년여 전 베트남에서 봉화로 시집온 응우옌티안(22) 씨는 이혼 직전 단계에 있다. 갈 곳을 찾아 헤매다 여성긴급상담전화(1366)를 통해 진오 스님과 연결되면서 절로 들어왔다. 그녀는 2개월 전 여아를 출산하면서 B형 간염 진단을 받았다. 그러자 남편은 형편 때문에 같이 살기 어렵겠다며 이혼을 요구했다고 그녀는 호소했다. 100일도 안 된 갓난아기는 김천의 영유아보육시설에 맡겨졌고, 시댁은 외면하고 있다. 그녀 역시 우리나라 국적이 없고, 우리말을 거의 하지 못한다.
남편의 사망 또는 이혼 등으로 우리 사회에서 방치된 채 홀로 아이를 키우며 어렵게 살아가는 다문화 모자가정이 늘어 이들이 한시적으로 머물 수 있는 시설 마련과 함께 자립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 시급하다.
다문화여성 및 이주노동자들을 돕기 위해 '달리는 스님'으로 알려진 진오 스님은 요즘 대둔사에서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및 자녀 등 4명과 2개월째 불편하고도 안타까운 동거를 하고 있다. 국적이 없는 이들 여성들은 국내 생활에 보호망이 전혀 없는 상황이다. 보험 적용이 안돼 병원치료에 어려움은 물론 수입이 단 한 푼도 없어 생계가 그저 막막하다. 국내에는 한국인 모자시설은 있지만, 다문화여성들을 위한 시설은 아직 없다.
딩티응앗'응우옌티안 씨는 "한국으로 시집올 땐 화목한 가정을 꾸려 재미나게 살수 있을 것이란 꿈이 있었는데, 산산조각이 났다. 그렇다고 베트남으로 다시 돌아갈 수도 없고, 어떻게 해서든 한국어를 배우고 직장을 빨리 잡아 아기들을 내 손으로 키우며 한국에서 살고 싶다"고 연신 눈물을 흘렸다.
진오 스님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이미 절에는 부모의 이혼으로 오갈데 없는 초'중'고교생 3명이 자식처럼 함께 생활하고 있어 다문화여성들이 계속해서 묵을 방도 적당하지 않고 병원비 등 생활비 마련도 걱정이 앞서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들의 자립을 위해 뭘 지원해야 할지, 또 어린아이들 교육은 어떻게 시켜야 할지, 모든것이 답답할 뿐이다.
진오 스님은 "우리 사회에서 버림 받는 위기의 다문화여성들이 계속 증가하고 있어 이들이 안정적으로 머물 수 있는 모자시설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