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이명식(56) 씨는 80대의 노부모님을 모시고 있다. 이 씨의 두 아이들은 수도권지역 사립대에 다니고 있어 학비에 방세, 용돈까지 합치면 아이들에게 들어가는 돈만 해도 허리가 휘청인다. 이 씨의 아내가 대형마트 캐셔로 일하며 맞벌이를 하고는 있지만 여섯 식구의 생활비는 두 사람이 버는 월급으로 턱없이 부족하다.
이 씨는 "아내와 나, 둘이서 부모님과 아이들까지 4명을 부양하고 있으니 항상 생활이 팍팍하다"며 "아이들은 군대에 다녀와 졸업하려면 아직 2~3년씩 남았고 취직이 언제 될지도 모르는데 은퇴 시기도 다가오고 있어 막막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경제활동을 하는 인구 3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후에는 경제활동 인구 2명이 노인 1명, 20년 후에는 1명당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22일 통계청과 미래에셋은퇴연구소 등에 따르면 올해 한국 '노년부양비'는 16.7%로 추정된다. 노년부양비는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65세 이상의 노년인구를 보여주는 비율로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노인 16.7명을 부양한다는 의미다.
하지만 실제 젊은층의 부양 부담은 이보다 훨씬 큰 것으로 분석됐다. 생산가능인구의 기준이 되는 15~64세는 대학진학률 등을 고려하면 20대 초반까지 대부분 부양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평균 은퇴시기까지 따지면 50대 후반, 60대 초반 인구도 실제로 경제활동을 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연구소가 이런 점을 고려해 실제로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인구인 핵심생산인구를 경제활동이 활발한 25~49세로 잡고 '실제 노년부양비'를 파악했다.
올해 기준 65세 이상 인구가 613만8천 명, 핵심생산인구는 1천978만4천 명으로 젊은층 3.2명당 노인 1명을 부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노령인구 증가와 출산율 감소 등을 고려했을 때 실제 노년부양비는 10년 후인 2023년에는 50%를 넘어서 핵심생산인구 2명당 노인 1명을 부양해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2년 뒤인 2035년에는 100.2%로 핵심생산인구 1명당 노인 1명에 대한 부양 부담을 져야한다.
게다가 실제 노년부양비와 15세 미만의 유소년부양비까지 포함하는 총부양비는 더욱 커져 핵심생산인구의 부담은 훨씬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 관계자는 "핵심 생산인구로 계산한 실제 노년부양비를 보면 이미 젊은이 3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결과가 나온다"며 "노년부양비 증가는 세대 간 갈등이 빚어질 수 있고, 세금 부담이 크게 늘어나는 등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수 있어 해결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노년부양비 증가세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저출산과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를 기준으로 한 우리나라 노년부양비는 2010년 15.2%에서 2020년 22.1%, 2030년에는 38.6%로 치솟는다. 2040년에는 57.2%로 일본(63.3%)에 육박하고 2050년에는 일본을 앞질러 세계에서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