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잘못된 운전 습관과 교통 시설 적극 개선을

선진국일수록 법규를 잘 지키고 다른 차량을 배려하며 여유 있게 운전하는 교통 문화가 일찍 정착돼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잘 정비된 교통 인프라와 건전한 운전자의 의식이 안전한 도로 상황을 만드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임을 알기 때문이다. 등록 차량 2천만 대를 넘어선 상황인데도 우리가 여전히 후진국형 교통 문화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은 잘못된 운전 습관과 준법 의식 부재 탓이 크다.

국내의 대표적인 교통법규 위반 사항을 꼽으라면 단연 교차로 꼬리 물기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교통사고 10건 중 약 4건이 교차로 꼬리 물기로 인해 발생했다. 경찰 분석에 따르면 교차로 정지선 준수율은 평균 81.8% 정도다. 하지만 실제 운전자들이 느끼는 체감률은 훨씬 낮다. 직진 신호 시 교차로에 진입하지 않고 대기 중인 차량을 향해 경적을 울리는 등 몰상식한 사례까지 있을 정도다. 이 때문에 서울'경기 등 일부 지역에서는 대대적인 꼬리 물기 단속과 신호 시스템 바꾸기에 나선다고 한다.

서울경찰청은 오는 3월부터 시내 3천500여 교차로에 캠코더를 휴대한 전담 인력을 투입해 꼬리 물기와 횡단보도 정지선 위반 등 교차로 통행 방법 위반 등을 단속한다고 발표했다. 정체 상황을 감지해 자동으로 신호를 바꿔 교차로 진입을 막는 자동 제어 시스템을 도입하고 신호등을 교차로 이전에 앞당겨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교차로마다 많은 예산을 들여 제어 시설을 설치하는 부담은 있으나 인명 피해와 교통 체증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면 대구경북도 이를 벤치마킹해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단속에 앞서 스스로 운전 습관을 고치려는 운전자의 노력이 중요하다. 나아가 불합리한 시설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간다면 훨씬 안전한 도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