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의 핵심 부서인 미래창조과학부(미래부)의 세부 조직안이 나온 가운데 지역 경제계는 대구시도 이에 맞춘 조직 개편을 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최근 2차관'3실'7국'13관'1대변인'67과로 구성된 정원 600여 명 규모의 미래부 직제안을 확정했다. 이번에 신설되는 미래부는 교육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 업무와 지식경제부의 소프트웨어(SW)와 IT 업무, 문화체육관광부의 콘텐츠산업(CT),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 콘텐츠 및 통신네트워크 업무 등이 합쳐진 '공룡 부서'가 될 전망이다.
중앙 정부의 조직 개편에 따라 지역 경제계는 대구시도 관련 부서의 조직 개편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역 경제계는 대구시도 중앙정부의 미래부와 일맥상통하게 CPND(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디바이스)를 함께 지원할 수 있는 부서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IT 업무 등을 맡고 있는 신기술산업국 내 IT산업과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IT산업과의 SW 관련 업무는 그대로 두고 행전안전부의 정보화사업 관련 업무는 다른 부서로 이관해야 한다는 것. 대신 현재 문화산업과에 있는 문화콘텐츠 업무를 IT산업과로 이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지역 경제계 한 관계자는 "기존에 IT업체들의 상당수 사업은 문화산업과로부터 지원받지만 실상 관리'감독은 IT산업과로부터 받아 업무의 이원화에 따른 소통 부재와 갈등이 있어 IT와 CT를 합친 전담부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시는 업무 효율화를 위해 IT산업과를 중심으로 일부 조직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IT산업과 내 ▷IT기획 ▷소프트웨어산업 ▷모바일산업 등 IT 관련 계는 그대로 두고 문화산업과의 문화콘텐츠 가운데 게임콘텐츠 분야를 떼어내 IT산업과에 합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IT산업과 내 ▷정보서비스 ▷정보보호 ▷공간정보 등 정보화사업 관련 업무는 다른 부서로 이관할지, 그대로 둘지 아직 논의 중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정보화사업 관련 업무를 이관할 부서를 마땅히 찾지 못한데다 IT산업과도 연관이 있어 이 부분에 대해서는 좀 더 협의가 필요하다"며 "3월 초쯤 시에서도 조직 개편 방안을 확정할 것"이라고 했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