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팡팡 튀는 아이디어, 펑펑 터지는 스마트 세상…'스마트 프로덕트'

'SNS에 반응하는 신개념 안드로이드 로봇 독'을 개발해 제1회 스마트 프로덕트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대상을 차지한 대구대 전자제어공학과 창업동아리 '에이아이에스'(AIS) 학생들.(사진 왼쪽) 제2회 스마트 프로덕트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대상을 차지한 이형섭(오른쪽) 씨 (사진 오른쪽)

'스마트 프로덕트'(Smart Product)가 뜨고 있다. IT를 활용한 스마트 프로덕트는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폰'스마트패드'스마트TV)와 연계해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융합제품을 의미하는 신조어다. IT를 활용해 일반 제품 가치를 높이는 이 제품군은 앞으로 글로벌 스마트산업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로 주목받고 있다.

◆기발함으로 승부

직장인 이형섭(32) 씨는 최근 건축디자인과 관련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기획해 경북테크노파크(경북TP)가 주최한 '제2회 스마트 프로덕트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회사에서 건축설계 업무를 하는 이 씨는 "보통 실내 건축을 하기 전에 전문업체에 마감재를 의뢰해 샘플을 보고 결정하는데 이럴 경우 다양한 샘플을 접하기가 어렵고 비용도 든다"며 "이런 맹점을 없애기 위해 가상으로 건축디자인을 적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 앱은 실제 건축 마감재를 촬영한 후 가상의 디자인 공간에 바로 적용해 비교할 수 있어 시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제품으로 공모전 심사에서 호평을 받았다.

이씨는 이 앱에 대해 특허를 출원했으며 앱을 개발해 상용화하기 위해 1인 창업을 준비 중이다.

경북TP는 참신하고 실현 가능한 스마트 프로덕트 관련 아이디어를 공모해 신제품 개발과 사업화로 추진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공모전을 열고 있다.

지난해에는 대구대 전자제어공학과 창업동아리 '에이아이에스'(AIS)가 출품한 'SNS에 반응하는 신개념 안드로이드 로봇 독(dock)'이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안드로이드 로봇 독은 로봇 형태의 스마트폰 도킹 장치로 트위터와 페이스북 같은 SNS에 새 정보가 등록되거나 메시지가 도착하면 로봇 독이 춤을 추며 알려준다. 도크 스테이션, 블루투스 헤드셋 등 스마트폰 주변기기가 고급화되는 추세에 맞춰 실용성과 재미를 함께 잡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스마트 프로덕트 사업은 최근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개발된 대표적인 제품으로 '돌 스피커'(Dollspeaker)가 있다. Dollspeaker는 아이를 가진 맞벌이 부부를 위해 개발된 제품으로 부모의 자장가나 동화를 스마트폰으로 녹음한 뒤 통신 시스템을 활용해 부모와 떨어져 있는 아이가 원할 때마다 갖고 있는 인형에 내장된 스피커로 녹음 내용을 들을 수 있는 감성 제품이다.

◆육성 위해 지자체 합심

스마트 프로덕트가 국내에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11년이다. 성균관대 최재붕 교수를 중심으로 성균관대와 경기TP 등이 스마트 시대를 주도할 새로운 기기 개발에 뜻을 모으고 공동 기획에 나섰다.

이 기획은 'SNS에 기반한 스마트 프로덕트 신산업 육성'이란 프로젝트로 발전했고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 국비 사업에 선정돼 2011년 7월 닻을 올렸다. 이 사업은 지식경제부의 광역경제권연계협력사업으로 선정돼 경북TP와 서울'경기'부산 지역의 테크노파크, 성균관대, 숭실대, 동아대 등이 참여한 가운데 2014년까지 사업비 180억원(국비 90억원)이 투입된다.

경북TP는 성균관대, 경기TP 등과 함께 핵심 스마트 프로덕트의 설계디자인 기획에서부터 시제품 개발, 특허출원, 시험품질인증, 마케팅 전략 수립, 국내외 유통망 확보에 이르기까지 스마트 프로덕트 산업 발전 및 수요 확산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경북TP 관계자는 "스마트 프로덕트는 제조와 SW, 서비스를 결합한 대표적인 융합산업으로 대기업 중심인 스마트 전자산업에 지역의 중소기업이 참여해 제품과 서비스의 고부가가치를 실현하고 중소기업 생태계를 창조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산업"이라며 "특히 우리 지역은 전국 최대의 전자정보기기 집적지로 스마트 프로덕트 개발의 최적지다"고 말했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