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DMZ 세계평화공원 구상'의 진전

박근혜 대통령이 미국 실무 방문 중 미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밝힌 'DMZ 세계평화공원' 구상이 실무적으로 상당한 진전을 보고 있다. 박 대통령이 상당한 의지를 가진 'DMZ 세계평화공원' 구상은 국내외 변수와 정치적인 환경에 대한 고려 없이 지속적인 검토와 협의를 통해 과연 임기 내 성사가 가능할지 주목받고 있다. 넘어야 할 산은 많지만, 기필코 난제를 해결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박근혜정부는 갖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미 지난 방미 기간에 유엔과 미국에 'DMZ 세계평화공원' 구상을 설명하고 동의를 요청, 긍정적인 답변을 들었다. 13일 대통령수석비서관회의에서도 박 대통령은 "'DMZ 세계평화공원'은 그 지역을 관할하고 있는 유엔, 미국 등과도 얘기를 나눠봐야 할 문제가 될 것"이라며 세부 추진 의지와 방향은 대한민국 단독 추진이 아니라 주변국과 유엔을 포함한 국제적인 추진 주체가 될 것임을 암시했다.

유엔과 미국을 핵심 파트너로 선택한 것은 DMZ 내 남한 구역을 유엔군 사령부와 한미연합사령부가 관리하고 있어 이들로부터 협조를 얻어내지 못하면 이 구상의 성공은 담보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 'DMZ 세계평화공원'이 군사분계선 이북까지 걸쳐진다면 북한의 동참도 필수적이다.

그러려면 북한을 회원국으로 두고 있는 유엔의 역할이 또다시 필요하다. 이에 대해 뉴욕에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만난 박 대통령은 비공개 면담에서 거론했고, 긍정적인 답변을 받아냈다. 지구촌 유일의 분단국가인 대한민국에서 냉전의 산물인 비무장지대를 세계 평화의 산실로 만들겠다는데 유엔이 반대할 이유는 없다. 비무장지대 세계평화공원 건설의 키를 쥐고 있는 북한을 동반자로 참여시키기 위한 정부의 묘안을 기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