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어제 남북한 포괄적 당국 간 회담을 제의했고 우리 정부가 즉시 이를 수용해 남북대화의 물꼬가 다시 트였다. 북이 조국평화통일위원회 특별 담화를 통해 회담을 제의하면서 '회담의 시간'장소에 대해 남측이 편리한 대로 정하면 될 것'이라고 했고 우리 정부는 즉시 '12일 서울에서 장관급 회담을 열자'고 제안했다. 이어 북한은 7일 오후 2시부터 판문점 적십자 연락 통로를 가동시키고, 9일 개성에서 남북 당국 실무 접촉을 제의했다.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와 핵실험에서 비롯된 한반도 긴장이 급속히 해빙 무드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이번 북한의 회담 제의는 포괄적이라는 점에서 기대를 모을 만하다. 북은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정상화를 위한 당국 간 회담을 내걸었지만 이산가족 상봉 등 인도주의적 문제도 협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나아가 6'15 공동선언 발표 13돌 행사와 지난 1972년 박정희 정부에서 채택한 7'4 남북공동성명 기념행사를 갖자고도 제안했다.
북한이 강경 모드에서 대화 모드로 전환한 것을 환영한다. 저의가 무엇이니 하는 논의는 접어둘 때다. 모처럼 찾아온 대화의 기회를 어떻게 살려나갈 것인가에 집중해야 한다. 개성공단 정상화는 남의 중소기업인들과 북의 근로자 생계가 달린 문제다. 금강산 관광 중단으로 입은 손해도 1조 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2010년 이후 중단된 이산가족 상봉 역시 서둘러야 할 과제다.
북의 갑작스러운 회담 제의에 성급한 기대를 갖는 것도, 함부로 해석하는 것도 금물이다. 박근혜정부는 "평화의 손길을 마주 잡고 남북한 공동 발전의 길로 나가자"며 북에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제안해 두고 있다. 이번 회담이 성사된다면 이를 본격 가동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