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갑작스런 세무조사 포스코 '깜짝'

전국 사업소 실시, 회장 거취? 세수? 뒷말 무성

3일 오후 1시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예고 없이 찾아온 국세청 조사팀의 방문으로 어수선해졌다. 느긋하게 점심식사를 하고 업무에 복귀하려는 순간, 10여 명의 조사팀이 '정기 세무조사'라며 사무실을 '이 잡듯' 뒤졌기 때문이다. 포스코의 이날 세무조사 배경을 두고, '회장거취 관련' '세수 확충을 위한 대기업 겨냥' 등 뒷말이 무성했다.

국세청은 3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포스코센터와 포항제철소, 광양제철소 등에 조사인력 30여 명을 긴급 투입해 세무조사를 벌였다. 국세청은 이번 조사가 정기 세무조사라고 했지만, 포스코는 앞서 2005년과 2010년 5년 단위로 정기 세무조사를 받은 터여서 '특별 세무조사'로 보는 시각이 팽배하다.

국세청 조사관들은 포항제철소 회계장부 등을 확보해 이날 오후 6시 30분쯤 돌아갔으나 정확한 세무조사 일정을 밝히지 않아 포스코의 긴장상태는 계속되고 있다.

이번 세무조사가 시작되자, 일각에서는 정준양 회장의 거취와 연결짓는가 하면 박근혜정부의 세수부족분을 메우기 위한 대기업 쥐어짜기 등 여러 해석이 나왔다.

지난 2009년 취임한 정 회장은 지난해 2월 연임에 성공해 2015년 초까지 임기(3년)가 보장된 상태다. 2000년 민영화된 포스코에 대해 정부가 최고경영자를 바꿀 법적 근거는 없지만, 새 정부 출범 때마다 포스코 회장이 바뀐 전례가 있어 이 같은 해석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정 회장은 포스코가 재계 6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6월 박 대통령 방중 시 국빈만찬에 참석하지 못했고, 지난달 청와대에서 열린 박 대통령과 10대 그룹 총수와의 오찬에도 초청받지 못했다. 현 정권에서 정 회장이 배제되는 일이 잦은 상황에서 세무조사가 터지다 보니, 또다시 회장 거취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현 정권 출범 초부터 복지재원 마련과 경제민주화 실현 등을 위해 대기업에 대한 세무조사를 강화한 것이 포스코로 이어졌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국세청은 새 정부 출범 후 롯데쇼핑, 효성, LG, SK, 한화생명, CJ그룹, 대우건설 등에 대한 세무조사를 벌였고, 재계 2위인 현대자동차에 대한 세무조사 계획도 밝혔다.

2005년 세무조사 당시 포스코는 1천800억원가량을 추징당 한 바 있다.

포스코 한 관계자는 "국세청 직원들이 정기조사라고 얘기한 만큼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일각에서 세무조사를 두고 정 회장의 거취와 연결하는 분석을 하는데, 이는 적절치 않다. 착실하게 조사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포항'박승혁기자 psh@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