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꼬인 정국 실타래 풀기, 쉽지 않겠는걸…

여야 '대통령 쓴소리' 여전

여야 대치 장기화에 따른 피로감이 박근혜 대통령에게로 쏠리고 있다. 야권은 물론 여권 일부에서도 박 대통령이 정국 정상화라는 대의를 위해 고집을 버릴 것을 주문하고 나선 것이다.

민주당 문재인 의원은 10일 박근혜정부를 향해 '참담' '파탄' 등의 표현을 쓰며 강렬하게 비판했다. 문 의원은 이날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사단법인'권영길과 나아지는 살림살이' 출범식에서 축사를 통해 "대선 후 8개월이 지났는데, 참담한 마음으로 박근혜정부를 지켜보고 있다"면서 "반대 정파를 모조리 종북'좌파로 모는 이념적 편향성으로 볼 때 이명박정부의 파탄을 되풀이할까 걱정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대통령을 향해 쓴소리는 여권 내부에서도 터져 나왔다. 지난해 대선 때 박근혜 대통령의 정책공약을 총괄했던 김종인 전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은 10일 열린 '한'중 국제학술포럼' 축사에서 "나라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려면 정치 지도자가 각성을 해야 하는데, 아직 그런 각성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또 "(박근혜정부가) 과연 나라가 새롭게 변하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 회의가 든다"고도 했다.

새누리당 중진의원인 정몽준'이재오 의원도 이날 서울광장 천막당사에서 노숙 투쟁 중인 민주당 김한길 대표를 찾아 정국 정상화를 위해선 박 대통령이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국회는 야당이 없으면 일을 못 한다. 박 대통령께서도 이 문제의 심각성을 잘 알기 때문에 잘 해결되리라고 기대한다"고 했고, 이 의원은 "제1야당이 한 달 넘게 천막 치고 있는데 권한이 제일 많은 사람이 결단하는 게 상식"이라면서 "박 대통령이 내일 순방에서 돌아오면 무언가 결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10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어떤 형태로든 박 대통령이 귀국하면 야당과 자연스럽게 자리를 만들어서 대화의 물꼬를 터야 하지 않겠느냐"면서 "국회를 정상화하기 위해 백방으로 뛰고 있으니 기다려달라"라고 말했다. 정치권의 눈과 귀가 온통 11일 박 대통령의 귀국에 맞춰져 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