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원인 낙동강의 녹조가 악화된 거야, 개선된 거야?"
10일 대구지방환경청은 낙동강 강정고령보에 내려진 '조류주의보'를 '경보'로 격상한다고 밝힌 반면 수질예보는 가장 낮은 '관심' 단계를 해제했다.
녹조현상 등 식수원인 낙동강의 수질 오염 위험성을 알리는 조류경보제와 수질예보제가 엇박자를 내고 있다. 발령 수치와 수질 측정 지점 등 두 제도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환경단체는 혼란을 야기하는 두 제도를 병행할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엄격한 기준인 조류경보제를 낙동강 전 보 구간에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경부는 조류경보제는 식수를 위한 취수(取水), 수질예보제는 강변 여가활동을 위한 친수(親手) 등 다른 목적으로, 발령 수치와 측정 지점 등 다른 기준의 두 제도를 도입했다. 이 때문에 강정고령보 상류 수질에 대해서 조류경보제는 녹조가 번창했다고 '경보'를 보냈고, 같은 날 수질예보제는 녹조에 대한 '관심'을 해제하는 등 상반된 결과가 벌어진 것이다.
두 제도는 클로로필-a와 남조류 세포수 등 수질 측정항목은 같지만 적용되는 농도 기준이 다르다. 안전한 식수 공급을 위해 도입된 조류경보제가 상대적으로 더 엄격해, 발령 최소 기준이 클로로필-a가 15㎎/㎥ 이상, 남조류가 500세포/㎖ 이상이다. 이에 비해 수질예보제는 발령 최소 기준이 클로로필-a가 70㎎/㎥ 이상, 남조류가 1만 세포/㎖ 이상으로 각각 4.7, 20배나 느슨한 편이다. 수질예보제의 가장 낮은 관심 단계가 조류경보제의 두 번째 단계인 경보가 된다.
취수 지점도 다르다. 강정고령보를 기준으로 조류경보제는 상류 7㎞ 지점에서, 수질예보제는 상류 500m 지점에서 물을 떠 측정한다. 조류경보제의 측정 지점이 더 상류로 올라간 건 상수원 보호를 목적으로 취수구 상류에서 미리 녹조발생을 파악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이유에서다.
문제는 상류에서 발생한 녹조가 항상 순차적으로 하류로 내려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올여름 상'하류 구분 없이 국지적으로 농도가 상승하는 경우가 많았다. 심지어 취수구 인근의 수질예보제 측정 지점이 조류경보제 지점보다 수질이 더 나쁜 경우가 많았다는 것.
환경부의 수질 측정 자료에 따르면 수질예보제 측정 지점 수치에 조류경보제 기준을 적용할 경우 이미 8월 중순에 조류경보가 내려졌어야 했다. 지난달 19일 수질예보제 지점의 클로로필-a와 남조류 수치는 조류경보 기준(클로로필-a 25㎎/㎥ 이상, 남조류 5천 세포/㎖ 이상)을 넘어선 27.7㎎/㎥와 5천984세포/㎖였다. 같은 날 조류경보제 지점에 조류주의보가 발령 중인 동안 정작 취수구 인근 수질은 조류경보 수준으로 악화된 상태였던 것이다. 이는 상수원을 보호한다는 조류경보제의 당초 취지와 어긋나는 결과다.
두 제도가 녹조현상에 대한 상반된 결과를 나타낸 것에 대해 환경단체는 다른 취지의 두 제도를 병행해 혼란을 줄 것이 아니라 상수원 보호라는 하나의 목적에 맞춰 조류경보제를 낙동강 전 구간에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조류경보제는 그동안 한강 일부 구간을 제외하곤 댐 등 호수에 적용해왔는데, 낙동강도 보 설치 이후 담수량이 댐 수준이 됐기 때문에 적용에 문제가 없다는 것. 강정고령보와 칠곡보의 담수량은 각각 1.07억t, 0.93억t으로 이는 대구시민 80만 명의 식수원인 운문댐의 0.73억t은 물론 영천댐의 0.96억t보다 많다. 이외에 달서보와 구미보, 낙단보, 상주보 등을 더해 대구경북의 보를 모두 합치면 담수량이 3.73억t으로 영주댐을 2개 짓는 것과 맞먹고 안동댐의 30%에 달하는 물의 양이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은 "본류에다 많은 지류들이 하나의 줄기로 연결된 강을 취수와 친수로 명확하게 구분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며 "특히 낙동강은 대구시민 160만 명과 경북도 수십만 명이 식수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취수 기준을 전 구간에 도입해야 한다"고 했다.
국립환경과학원 수질통합관리센터 관계자는 "수질예보제는 4대강 완공 이후 늘어날 친수활동에 적합한 기준을 제기하기 위해 도입했기 때문에 차후 연구를 통해 대장균과 화학적산소요구량, 부유물질 등 적합한 기준을 추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조류경보제는 올해 상수원 취수구가 있는 곳부터 시범운영 중이기 때문에 앞으로 운영결과를 분석해 다양한 적용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했다.
서광호기자 kozm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