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님께서는 조금도 저를 위하여 근심치 마십시오. 지금 조선에는 우리 어머님 같으신 어머니가 몇천 분이요, 몇만 분이나 계시지 않습니까?… 저는 어머님보다도 더 크신 어머님을 위하여 한 몸을 바치려는 영광스러운 이 땅의 사나이외다.'
본명(대섭)보다 필명(훈)이 더 유명한 심훈(1901~1936)은 3남 1녀의 막내였다. 1915년 교동보통학교 졸업 뒤 독립운동가 이범석, 공산주의자 박헌영 등 수재가 다니던 경성고보에 들어갔다. 3·1만세운동(1919년)때 앞장섰다 잡혀 그해 11월 징역 6월 집행유예 3년으로 석방됐지만 8개월쯤 옥고를 치른 뒤였다. 어머니를 위로하는 옥중편지는 그때 썼다.
출옥 후 중국으로 망명, 무장투쟁론의 신채호 이회영 등 독립운동가를 만나 독립 의지를 불태웠고, 항주 지강대학을 다니다 1923년 귀국, 잠시 언론생활을 했다. 1926년 순종 붕어(崩御) 땐 '통곡 속에서'란 그의 시는 6·10만세운동의 기폭제가 됐다. 1932년 항일 저항문학의 최고 금자탑인 시 '그날이 오면'을 지었다. '그날이 오면 그날이 오면/삼각산이 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그날이 와서, 오오 그날이 와서/ /그 자리에 거꾸러져도 눈을 감겠소이다.' 고향(당진)에서 1935년 농촌계몽소설 '상록수'로 농민문학의 길을 열었고, 단행본 출판일로 서울생활 중 장티푸스로 1936년 오늘 요절(36세)했다. 200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됐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