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교육계의 숙제 중 하나가 일반고의 역량을 키우는 것이다. 교육부는 지난달 시안 형태로 일반고 역량 방안을 발표했다. 그 중 교육과정 분야의 요지는 자사고, 특목고를 제외한 나머지 유형의 고교 교과 180단위 중 필수 이수 단위를 86단위로 통일하는 것이다.
그동안 일반고(116단위)와 달리 자사고(58단위), 자공고 및 교육과정 자율학교(72단위)는 필수 이수 단위가 상당히 적었다. 이는 다양한 과목을 가르칠 수 있도록 길을 열어 준 것. 하지만 자사고 등은 당초 정책 취지와 달리 국'영'수를 많이 편성하는 경향이 있었던 게 사실이다. 일반고에겐 이번 방안으로 국'영'수의 단위 수를 더 늘릴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법도 하다.
하지만 우리는 이 대목에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하는 방향과 기준에 대해 냉정히 통찰해봐야 한다. 가장 중요한 화두는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있어서의 과목 간 조화다. 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꿈과 끼를 제대로 펼칠 수 있는 바탕을 만들어줘야 한다. 예능에 소질을 지닌 학생은 학교의 예능 과목을 통해 자질을 키우도록 도와 줘야 하고 경영'경제학을 전공하고 싶어하는 학생에겐 경제 과목을 배울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해 줄 필요가 있다.
학생 입장에서는 초'중'고교 간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이 얼마나 연계되는지도 매우 중요하다. 초'중학교 때 진로탐색 경험을 바탕으로 고교에서 학생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일, 가장 잘 할 수 있고 가장 해보고 싶은 진로를 선택한 뒤 공부를 하게 하면 학습도 가속도가 붙게 마련이고 입시 준비도 더 잘 할 수 있다.
세상이 변하고 있다. 성인이 될 때까지 자기 의사 한 번 제대로 표현해보지도 못하고, 자기 삶의 결정권을 가지지 못한 채 타인에게 끌려 다니는 다수의 나약한 미래인을 양성해놓으면 그 부담은 우리 사회가 두고두고 짊어져야 한다. 이제 학생 자신이 자기 인생을 선택하고 그 책임도 스스로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리 사회가 학교에 과도한 성적 경쟁을 하도록 채찍질해왔다면 지금부터는 학생들이 자기에게 맞는 교육과정 트랙에 들어서서 끝까지 자신의 꿈과 끼를 살릴 수 있도록 타일러야 한다. 흔히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즐겁게 할 수 있는 사람이 행복한 사람이라고 한다. 이런 행복한 사람을 어떻게 길러낼 것인가에 대해서는 이제 학교가 준비하고 답해야 할 차례다.
김차진 대구시교육청 교육과정운영과 장학관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