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스테인리스스틸 위조제품 '꼼짝마'

포스코가 한국철강협회와 공동으로 10월 1일부터 스테인리스스틸(STS) 위조제품 신고센터를 운영키로 했다.

이달 25일 포스코에 따르면 최근 부당이득을 노린 일부 수입유통업체들이 중국산 저가'저품질 스테인리스 열연재 및 냉연재 마킹을 위조해 포스코 제품으로 둔갑시키는 사례가 많아 이를 바로잡기 위해 철강협회와 손잡고 엄단 대처하기로 했다. 또 스테인리스 후판재를 ㈜DKC 제품으로 위조 판매하는 행위에 대해서도 감시망을 보다 강화할 방침이다.

양 기관은 국내 유일의 스테인리스스틸 일관밀(Mill)을 보유한 포스코에 'STS 위조제품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신고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직접 현장 방문을 통해 포스코 제품 진위를 확인해주기로 했다. 또 신고센터를 적극 활성화하기 위해 신고자 익명 유지 및 포상금 지급도 진행할 계획이다.

스테인리스스틸은 크롬과 니켈을 넣어 만든 합금강으로, 일반 대기환경에서는 부식되지 않고 표면이 부드러워 저수조'고급 가전'식기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고부가가치 강재다. 일반 열연재보다 두 배 이상 비싸다 보니 중국산 저가 스테인리스스틸의 수요가 매년 늘고 있고, 실제 올해만 해도 중국산 저가재의 수입량이 전년 대비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도 위조제품에 따른 피해방지를 위해 올해부터 원산지 표시 대상물품 목록에 스테인리스 제품 등 수입 철강 판재류를 추가했다. 앞으로 관세청은 스테인리스 제품의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표시했을 경우 대외무역법에 따라 처벌할 방침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중국산 저가'저품질 STS 수입재를 고품질 국산 제품으로 둔갑'판매하는 불법 행위는 포스코나 ㈜DKC와 같은 국내 철강사에 직접적으로 손해를 끼칠 뿐만 아니라, 해당 사실을 모르고 사용하는 소비자들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다"며 "소재의 규격과 품질이 엄격히 요구되는 중화학공업용 플랜트나 해양 플랜트 등 조선용 설비의 경우, 미인증된 저급 중국산 제품이 사용되면 자칫 큰 산업 재해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포항'박승혁기자 psh@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