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46m '청량대운도' 공개…청송 군립미술관 개관식

26일 청량대운도전시관이 개관, 청량대운도가 처음으로 주민들에게 공개됐다. 주민들은 웅장한 크기의 작품 앞에서 자리를 옮겨가며 다양한 방법으로 감상했다.
26일 청량대운도전시관이 개관, 청량대운도가 처음으로 주민들에게 공개됐다. 주민들은 웅장한 크기의 작품 앞에서 자리를 옮겨가며 다양한 방법으로 감상했다.
이원좌 화백
이원좌 화백

청송 출신 야송 이원좌(75) 화백의 역작 '청량대운도'가 드디어 세상의 빛을 보게 됐다.

26일 청송군 진보면 신촌리 군립청송야송미술관에서 청량대운도전시관 개관식이 열렸다. 이날 한동수 청송군수와 이성우 청송군의장, 김영기 경상북도의원, 박영택 청송경찰서장 등 유관기관 단체장들과 주민 300여 명이 개관을 축하했다.

처음으로 주민들에게 청량대운도가 공개된 이날 전시관에 들어선 주민들은 작품의 웅장함에 입을 '쩍' 벌렸다. 작품 크기가 가로 46m, 세로 7m로 초거대작이어서 일반 산수화의 크기와 큰 차이를 보였기 때문. 그래서 주민들은 한두 발짝 물러서서 전체를 살피고, 한쪽 끝에서 다른 끝으로 걸으면서 그림 속 산맥을 짚는가 하면, 2층으로 올라가 위에서 아래로 작품을 내려다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작품을 감상했다. 이에 이 화백은 주민들을 위해 작품 부분을 짚으며 설명했다. 한 주민은 "산을 그대로 옮겨놓은 것처럼 실감이 난다"고 말했다.

청량대운도는 봉화군에 있는 청량산을 배경으로 한 실경산수화다. '서울 천도 600주년'(1994년)을 기념해 1992년 4월부터 같은 해 10월까지 약 180일에 걸쳐 완성한 작품이다. 당시 한국 역사상 유례가 없는 초대형 작품으로 평가됐지만 작품 크기 때문에 변변한 전시조차 못 한 채 20년 넘게 수장고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청송군은 전시관 건립을 위해 2009년 4월 '청량대운도전시관 건립 기본계획'을 수립했고, 2011년 3월 경상북도 광특회계 보조사업으로 확정돼 같은 해 10월부터 국'도'군비 등 모두 25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야송미술관 부지 내에 지상 2층, 연면적 1천602㎡ 규모로 전시관을 건립했다.

이 화백은 "평생 한이 된 청량대운도의 전시가 이뤄져 가슴에 진 응어리가 풀린 것 같다"며 "앞으로 남은 인생을 청송의 자연을 담은 대작을 그려 전시관을 채우는 데 쏟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청송'전종훈기자 cjh49@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