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산업 발전을 위해 원사'사가공'직물 등에 특화된 대구경북과 편조 등에 강점을 갖고 있는 경기 북부의 섬유산업 간 연계 필요성이 제기됐다.
한국은행 대구경북지역본부와 경기본부가 공동으로 발표한'국내 섬유산업의 지역 간 연계발전 방안'에 따르면 대구경북은 원사의 최대 생산지이며 화섬직물과 사가공이 발달해 이를 이용한 고기능성 첨단섬유와 다양한 직물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비해 경기 북부는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편조제품과 염색가공에 특화되어 있다.
두 지역의 지난해 수출 품목을 살펴보면 대구경북은 직조제품(9억2천만달러'28.7%), 섬유사(5억9천만달러'18.3%), 섬유원료(5억2천만달러'16.3%)의 구성 비율이 높은 반면 경기 북부는 편조제품(5억3천만달러'61.6%)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두 지역 모두 중소기업 위주의 영세한 매출과 인력구조를 보유하고 있어 섬유산업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50억원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대구경북은 93%, 경기 북부는 84%, 종업원 10명 미만 기업 비중은 대구경북과 경기북부 각각 78%로 조사됐다.
양 지역 모두 연구개발 투자비율도 낮았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비율이 5% 미만인 기업 비중이 대구경북은 69.4%, 경기 북부는 76.3%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두 지역의 섬유산업 구조가 달라 연계를 통한 시너지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며 연계 필요성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주요 추진 과제로 우선 원사업체와 니트업체 간 협력 강화를 꼽았다. 대구경북의 다양한 소재사 제조기술을 이용해 경기 북부의 니트제품 생산에 최적화된 원사를 공급하고 경기 북부는 이를 활용해 고부가가치 니트를 생산함으로써 상생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
또 한'미, 한'EU FTA 발효로 원산지 기준을 충족하려면 방적, 직조'편조, 염색'가공, 재단'봉제 등의 모든 공정이 역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지역별로 특화되어 있는 섬유스트림 간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 보고서는 해외 공동마케팅 활성화, 연구개발 인프라 연계강화, 정부 지원 확대 등을 제안했다.
이경달기자 sarang@msnet.co.kr
◇용어설명
-원사 : 실
-사가공 : 실을 꼬아주는 것, 실을 가공하는 것.
-편조 : 실을 이용해 뜨개질처렴 입체적인 직물을 만드는 것.(뜨개질 방식, 양말과 장갑, 니트 등을 만드는 방식)
-직조 : 실을 이용해 평면의 원단(직물)을 만드는 것.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