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환경안전에 비상이 걸렸다. 책가방과 장난감, 학용품 등 어린이용품과 어린이집, 놀이터 등 생활공간에서 각종 유해물질이 잇따라 검출되고 있다. 관계기사 3면
◆어린이용품에서 잇따라 유해물질
일부 어린이 책가방에서 납과 니켈 등 유해물질이 기술표준원의 기준 이상으로 검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녹색소비자연대와 중소기업진흥공단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검사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4종의 가방에서 기준치 이상의 유해물질이 나왔다. 이들 제품은 모두 한국 중소기업들이 중국에서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만든 것이다.
문제는 업체에 대해 제재가 이뤄짐에도 반복해서 유해물질 기준을 넘고 있다는 점이다. 올 4월에도 어린이 책가방 3종 제품에서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기준치보다 111~179배 높게 검출된 바 있다. 기술표준원은 지난해 9월에도 어린이 책가방 7종 제품에서 중금속이 나와 모두 리콜 조치했다.
가방뿐만 아니라 시중에서 판매되는 다른 어린이용품도 안전하지 않다. 1월 환경부 조사 결과 3천359개 제품 중 211개(6.3%)가 프탈레이트 및 중금속의 기준을 초과했다. 심각한 것은 법적 기준이 없는 제품 641개 중 109개(17%)에서 프탈레이트와 중금속이 검출됐다는 점이다.
◆어린이 생활공간도 안전하지 않아
어린이들이 생활하는 실내공간도 유해물질에 노출돼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 어린이집 1천321곳 중 13%가 실내공기질(총 부유세균) 기준을 넘어섰다. 이 중 4분의 1이 대구지역 어린이집이다. 이들 어린이집은 개선명령과 함께 과태료(40만~200만원)를 부과 받았다.
총부유세균은 호흡기로 마시거나 피부에 닿을 경우 호흡기 및 알레르기성 질환을 유발한다. 어린이집의 경우 어린이들의 기침과 의류, 침구류 먼지에 의해 심해지고, 청소가 불량하거나 오래된 시설일수록 농도가 높다. 특히 같은 공간에 화장실과 주방이 함께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게 나온다. 어린이들이 뛰어노는 실외공간도 안전하지 않다. 지난해 환경부 조사 결과 놀이시설 등 어린이 활동공간 700곳 중 34.7%가 중금속 기준을 초과했다.
◆유해물질로부터 어린이 보호하기
환경부는 올 9월부터 어린이용품에 대해 4가지 화학물질의 사용을 제한하기 시작했다. 이들 물질은 몸속으로 들어가 정자 수 감소 등 생식독성을 지니거나 성장 장애'백혈구 감소를 유발한다. 환경부는 또 환경보건법을 개정, 올 7월부터 납에 대한 관리를 강화했다. 어린이 활동공간에서 사용하는 도료나 마감재료에 함유된 납의 상한기준을 0.1%에서 0.06%로 강화했다.
이주홍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 정책국장은 "지난해 유해물질이 나와 리콜조치가 이뤄진 브랜드가 올해 검사에서도 유해물질이 나왔다"며 "적발된 제품을 만든 업체를 지속적으로 감독하지 않으면 이 같은 문제는 되풀이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과 관계자는 "관리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사각지대의 어린이용품에 대해 위해성 평가를 실시한 뒤 환경보건법 내 사용제한 규정에 반영해서 관리할 것"이라며 "친환경 건축자재와 가구의 사용을 확대하고 친환경 어린이 생활공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광호기자 kozm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