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다중진단 통한 조기 암검진, 폐암·췌장암 생존율 높인다

질병진단의 획기적 기술인 다중진단은 특히 암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질병으로 인한 인간의 사망 원인 가운데 암이 가장 치명적인데다, 암 사망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2000년 암환자는 9만8천여 명에서 10년 만인 2010년 16만6천여 명으로 늘어나는 등 해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2011년 국내에서 암으로 숨진 사람은 모두 7만1천여 명으로, 당해 전체 사망자의 27.8%에 달할 만큼 압도적이다. 특히 같은 해 암 사망자 중 폐암 사망자가 전체 암 사망자 중 22%인 1만5천여 명으로 나타났다.

암은 초기진단이 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초기(1, 2기)에 진단하느냐, 중기나 말기(3, 4기)에 발견하느냐에 따라 삶과 죽음이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많은 암 종류 가운데 ▷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등을 국가 5대 암 검진사업으로 선정해 조기검진이 가능하도록 했다.

하지만 암 발생률과 사망률이 높은 편인 폐암과 췌장암의 경우 국가 5대 암 검진사업에는 빠져 있다. 이 2가지 암은 발생률이 1위와 5위를 차지할 만큼 높지만, 생존율은 상대적으로 낮다. 폐암과 췌장암이 다중진단을 통한 조기검진의 필요성이 절실한 이유이다. 국가 암 검진사업 대상에 포함되는 대다수 암은 조기검진과 치료기술의 발달로 5년 생존율이 매년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 폐암과 췌장암의 생존율은 여전히 낮다.

포스텍과 소말로직의 피 속 단백질을 통한 다중진단 기술이 폐암과 췌장암에 적용될 경우 2가지 암 발생률과 사망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조기진단이 적용되면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암으로 인한 국가재정 부담도 크게 줄일 수 있다. 2011년 기준 암 치료 관련 진료비는 4조126억원(비급여 제외)에 이르고 있다.

김병구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