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기초선거 무공천 번복하면 '새 정치'는 끝이다

'기초선거 무공천' 문제가 오늘 중앙당을 창당한 새정치민주연합의 순항 여부를 가늠할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무공천은 민주당과 새정치연합 합당의 최대 명분이지만 민주당 내 최대 계파인 친노(친노무현) 세력이 '재검토'를 요구하면서 새로운 갈등의 고리가 되고 있는 형국이다. 이런 내부 분란을 슬기롭게 해소하지 못한다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출발부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는 중앙당 창당 하루 전인 25일 '약속을 지키는 정치'라는 말로 무공천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 전날 "(기초선거) 무공천이 필요한 이유를 당원들에게 설득하고 의견을 묻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한 문재인 의원을 비롯한 친노계의 무공천 재검토 요구는 수용할 수 없음을 분명히 한 것이다. 그러나 무공천에 대한 반발이 당 하부 조직에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김'안 공동대표의 말이 제대로 먹힐지는 의문이다.

냉정하게 말해 기초선거 무공천은 새정치민주연합에 양날의 칼이다. 국민에게 한 약속을 지켰다는 것을 내세울 수 있다는 점에서 명분상의 엄청난 이득이 있지만, 무공천으로 야권 표가 분산돼 기초단체 선거에서 새누리당에 패할 수 있어 실리 면에서는 엄청난 손실이다. 김'안 공동대표는 이 중 명분을 택한 것이다. 그 배경에는 이번 기초선거에서 패하더라도 '약속의 정치'를 국민의 의식에 각인시킴으로써 장기적으로 더 이득이란 판단이 작용했을 듯하다.

이런 판단이 정확한지, 다시 말해 실리의 포기가 명분을 더 빛나게 할 수 있을지는 지금 누구도 알 수 없다. 문제는 이런 판단이 잘못됐다는 생각이 들어도 되돌아가지 못한다는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이 스스로 존재 이유로 내세우는 것이 새 정치고 기초선거 무공천은 그 구체적 실천의 일환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기초단체 공천으로 돌아서는 순간 새정치민주연합과 '새 정치'는 끝이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새정치민주연합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초선거 무공천 논란은 불필요하다. 하루속히 논란을 정리하고 선거에 힘을 쏟아 '약속의 정치'를 실천하는 새 정치를 보여주길 기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