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종합병원 중 7곳이 급성기 뇌졸중 치료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에 포함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해 3~5월 국내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201곳을 대상으로 급성기 뇌졸중 치료가 적절한지 평가했다. 전체 의료기관 중에서는 48.8%인 98개 기관이 1등급으로 선정됐다.
대구의 경우 평가 대상 8개 의료기관 중 경북대병원과 계명대 동산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 영남대병원, 대구파티마병원 등 5곳이 1등급에 포함됐다. 동산병원과 영남대병원, 대구파티마병원은 평가 항목 전 분야에서 만점을 받은 데 비해 경북대병원은 정맥 내 혈전용해제(t-PA)투여 고려율이, 대구가톨릭대병원은 1시간 이내 뇌영상검사 실시율이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칠곡가톨릭병원은 4등급, 곽병원은 5등급으로 평가됐고, 칠곡경북대병원은 등급에서 제외됐다.
경북은 평가 대상인 18개 의료기관 가운데 동국대의대 경주병원과 포항 세명기독병원 등 2곳이 1등급을 받았다. 안동성소병원, 영남대의대 영천병원, 안동병원, 구미차병원, 포항선린병원, 포항성모병원, 순천향대 구미병원 등 8곳은 2등급에 포함됐다. 상주적십자병원은 2등급, 김천제일병원과 문경제일병원은 3등급으로 평가됐다. 김천의료원은 4등급을 받았고, 구미강동병원과 상주성모병원은 등급에서 제외됐다.
한편 뇌졸중 진료기관들의 의료서비스의 질 개선에도 불구하고 환자들은 여전히 늦게 병원을 찾아 장애를 막을 수 있는 치료시기를 놓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상 발생 후 응급실 도착시간은 평균 213분으로 4차 대비 오히려 5분 지연된 결과를 보였고, 구급차 이용률은 55.8%에 불과했다.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골든타임'(적정 치료시간)인 180분을 넘겨 병원에 도착한 셈이다. 뇌졸중 환자 구급차 이용률도 55.8%에 불과했다. 구급차를 이용하지 않은 환자의 응급실 도착 시간은 483분으로 구급차보다 3배 이상 길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관계자는 "뇌경색 증상이 발생하면 구급차를 이용하여 먼 거리에 있는 유명 대형병원을 찾는 것보다 좋은 평가를 받은 가까운 병원에서 빠른 치료를 받는 것이 생명을 구하고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밝혔다.
◆대구경북 급성기뇌졸중 1등급 평가 의료기관
대구=경북대병원, 계명대 동산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 영남대병원, 대구파티마병원
경북=동국대의대 경주병원, 포항 세명기독병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