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극 전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자진 사퇴하면서 청와대는 곧바로 후임 총리 인선작업에 착수했다. 이미 두 차례나 실패한 총리 지명에 따른 국정 공백 장기화와 검증 실패에 대한 비판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서라도 후임 인선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기 때문이다.
청와대 주변에서는 이미 박근혜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 때부터 인선작업에 나서 후보군을 확보했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새 총리 후보로는 문 전 후보자와 같은 충청권에 국한하지 않고 출신 지역과 직역을 막론하고 후보군이 넓어질 것이란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PK(부산경남) 출신 법조인인 안대희 전 대법관에 이어 충청권에서 지명한 언론인 문창극 전 중앙일보 주필이 연속 낙마하면서다. 배제됐던 법조인, 관료 출신이나 정치인도 후보군에 올랐다는 것이다.
'정치인 총리설'도 고개를 들고 있다. 어느 정도 검증을 거친데다 국회 인사청문회 통과가 쉽기 때문에 안정적이라는 평가도 받고 있다. 대통령의 뜻을 읽는 정무능력이 뛰어나다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다. 정치인 출신 후보군에는 김문수 경기지사, 이인제 국회의원, 황우여 전 대표, 강창희 전 국회의장 등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차기 대권후보로 부상할 경우 대통령과 충돌이 불가피하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한편 새 총리는 경제를 아는 인사여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국정을 안정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경제 안정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고려에서다. 경제를 아는 후보군 중에서는 참여 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지낸 한덕수 한국무역협회장이 이전 정부에서 검증을 거쳤다는 점에서 다시 거론된다. 전남 목포 출신 전윤철 전 감사원장 등도 하마평에 오른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이한구 전 원내대표가 거론된다.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인데다 지난 대선과정에서 박 대통령의 경제 가정교사를 지냈다는 점에서 박 대통령과의 소통에 문제가 없다는 점이 강점이다.
김기춘 비서실장의 거취가 총리 인선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김 실장에 대한 야권의 공세가 거센데다 인선 실패의 총제적 책임론이 여권 내에서도 나오고 있다.
이와 별도로 청와대 인사검증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는 요구도 거세다. 청와대 일부 인사들로만 구성된 인사위원회의 검증이 잇달아 실패하면서 야권과의 소통 여부도 관심사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