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계열사 매각을 통한 몸집 줄이기에 본격 나섰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4개월 전 취임하며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 재무구조 개선 및 비핵심사업 구조조정의 신호탄으로 여겨진다.
포스코는 전남 광양 액화천연가스(LNG)터미널, 시멘트용 슬래그 제조업체인 포스화인, 조림 회사인 포스코-우루과이 매각을 추진하기 위해 도이치뱅크, 삼일회계법인, 안진회계법인을 각각 매각 자문사로 선정했다.
다만 민간 유일의 액화천연가스(LNG) 기지인 광양 LNG터미널은 수익성 및 시장가치(7천~9천억원 추정)가 뛰어난 만큼 일부 지분(49%)만 매각한 뒤 별도 법인으로 포스코가 경영권을 유지할 방침이다. 광양 LNG터미널은 인도네시아에서 들어온 LNG를 탱크에 저장한 뒤 기화 처리해 공급하는 설비다.
포스화인은 소재사업의 선택과 집중이라는 경영 방침에 따라 매각된다. 포스화인은 제철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슬래그를 분말화해 시멘트업체에 판매하는 회사다. 이 회사는 수요와 영업이익률(12%)에서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어 매각이 순조롭게 진행될 전망이다.
남미에서 조림사업을 하는 포스코-우루과이는 탄소배출권을 미리 확보하기 위해 2009년 설립됐다. 하지만 2012년 제정된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20년까지 국외에서 획득한 탄소배출권을 국내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매각 대상에 포함됐다.
포스코는 지분매각과 비핵심사업 철수를 통해 기업가치 상승과 신용회복 등을 기대하고 있다. 구조조정은 경쟁력이 약하고 주력사업과 연관성이 낮은 계열사를 중심으로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징역 2년 구형' 나경원…"헌법질서 백척간두에 놓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