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지하철 요금 2017년까지 400원 인상 논란

대구도시철도공사(이하 도시철도)가 경영 개선 방안의 하나로 지하철 요금 인상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올해 초 400원 인상을 추진하다 반대에 부딪혀 무산된 지 1년도 되지 않아 다시 요금을 올리려고 나선 것.

도시철도는 수익 증대 방안 중 하나로 4년간 2차례에 걸친 지하철 요금 인상안을 마련했다. 안전행정부에 제출한 도시철도의 '2014~2017년 부채감축 추진계획'에 따르면 현재 1천100원(성인 교통카드 기준)인 요금을 내년 상반기에 200원 인상해 1천300원으로, 2017년 상반기에 추가로 200원을 올리는 등 전체 36% 인상안이 담겨 있다.

도시철도는 요금 인상 이유로 수송원가에 비해 요금이 턱없이 낮게 책정돼 있고, 요금인상률이 물가상승률에도 못 미친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현재 수송원가는 2천101원으로 요금의 1.9배이고, 무임승차 인원 등을 포함한 1인당 평균운임 688원의 3배에 이르며 ▷7년간 소비자 물가지수가 22.6% 올랐지만 지하철 요금은 950원에서 15.8% 상승한 1천100원(2011년 7월 인상)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다.

도시철도의 요금 인상 움직임은 올 1월 추진되다 비판 여론에 밀려 무산된 바 있다. 당시 도시철도는 부채를 줄이기 위해 3년 동안 요금을 400원 올리겠다고 대구시에 계획안을 제출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도시철도 측은 "내년이 되면 도시철도 3호선 건설 부채 약 1천억원을 떠안아야 하는데다 물가인상률 등을 감안했을 때 요금 인상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광현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수송원가를 더 이상 줄이기 힘든 상황에서 무작정 요금을 올려 시민에게 부담시키는 것이 합당한지 따져봐야 한다"며 "경영의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선하는 한편 이용자를 늘려서 수익을 증대하는 방법이 부채를 줄이는 근본 해결책이다"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