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도시철도공사(이하 도시철도)가 경영 개선 방안의 하나로 지하철 요금 인상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올해 초 400원 인상을 추진하다 반대에 부딪혀 무산된 지 1년도 되지 않아 다시 요금을 올리려고 나선 것.
도시철도는 수익 증대 방안 중 하나로 4년간 2차례에 걸친 지하철 요금 인상안을 마련했다. 안전행정부에 제출한 도시철도의 '2014~2017년 부채감축 추진계획'에 따르면 현재 1천100원(성인 교통카드 기준)인 요금을 내년 상반기에 200원 인상해 1천300원으로, 2017년 상반기에 추가로 200원을 올리는 등 전체 36% 인상안이 담겨 있다.
도시철도는 요금 인상 이유로 수송원가에 비해 요금이 턱없이 낮게 책정돼 있고, 요금인상률이 물가상승률에도 못 미친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현재 수송원가는 2천101원으로 요금의 1.9배이고, 무임승차 인원 등을 포함한 1인당 평균운임 688원의 3배에 이르며 ▷7년간 소비자 물가지수가 22.6% 올랐지만 지하철 요금은 950원에서 15.8% 상승한 1천100원(2011년 7월 인상)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다.
도시철도의 요금 인상 움직임은 올 1월 추진되다 비판 여론에 밀려 무산된 바 있다. 당시 도시철도는 부채를 줄이기 위해 3년 동안 요금을 400원 올리겠다고 대구시에 계획안을 제출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도시철도 측은 "내년이 되면 도시철도 3호선 건설 부채 약 1천억원을 떠안아야 하는데다 물가인상률 등을 감안했을 때 요금 인상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광현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수송원가를 더 이상 줄이기 힘든 상황에서 무작정 요금을 올려 시민에게 부담시키는 것이 합당한지 따져봐야 한다"며 "경영의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선하는 한편 이용자를 늘려서 수익을 증대하는 방법이 부채를 줄이는 근본 해결책이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