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K2 공군기지 예천지역 이전 탄력받나

용역 결과 주민 70% 찬성, 영천 의성도 후보지 거론 "신도청 소음민원" 지적도

대구 K2 공군기지(이하 K2) 이전 사업의 본격 추진이 예상되면서 유력 후보지로 거론되는 경북 예천지역 주민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K2를 예천지역으로 유치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승객 감소로 2004년 중단됐던 예천 제16전투비행단 내 민간공항을 재가동해 경북 '하늘길'을 열어야 한다는 것이다.

K2 이전 사업은 지난 5월 대구시가 K2 이전을 위한 건의서를 국방부에 제출하면서 본격화됐다. 국방부는 2016년까지 이전부지를 선정하고, 2017년부터 6년간 새로운 군 공항 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사업을 벌인 뒤 2022년까지 K2를 이전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전 부지는 특별법에 따라 국방부가 발표하는 경북 도내 이전 후보지 2, 3곳 중 주민투표를 거쳐 가장 높은 찬성률이 나오는 지역이 선정될 공산이 크다. 군수 산업체가 밀집된 영천시와 기존 공군부대(제16전투비행단)가 있는 예천군, 그리고 의성군 등이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이들 지역 중에서 이전에 따른 비용 문제와 주민투표 등을 감안하면 예천군이 가장 유력하다는 것이 관계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예천군 개포'유천'용문면 일대에는 이미 공군 제16전투비행단이 자리 잡고 있다. 국방부가 이전 부지 660만㎡(200만 평)보다 5배 늘린 3천300만㎡(1천만 평)를 확보하고 인근 주민들을 부대 외곽으로 이주시키면 전투기 이'착륙에 따른 소음피해와 각종 민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는 것.

지역 여론도 찬성하는 분위기다. 예천군에 따르면 최근 '2020 웅비예천 종합발전 계획' 용역을 의뢰한 결과, 주민 70%가 K2 공군기지 예천 이전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기욱 경북도의원(예천)은 "K2 이전의 핵심 사안인 예산 문제와 주민 민원 등을 고려하면 예천이 최적지"라며 "국방부가 그동안 영천은 육군, 포항은 해군, 예천은 공군으로 주력해 온 이상 K2는 꼭 예천으로 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경북도청 이전이 오히려 K2 예천 이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안동'예천에 도청이 들어옴에 따라 인구가 유입되고 지역이 개발될 경우 대구 K2 인근에서 빚어지고 있는 소음 및 재산권 피해 목소리가 예천에서도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K2가 예천으로 이전하면 K2 내 공군 제11전투비행단과 예천 제16전투비행단이 합쳐져야 하는 군 전략적 문제점도 있다.

남형근 대구시 K2이전추진단장은 "아직 K2 이전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진행된 적이 없다"고 전제한 뒤 "3조5천억원이라는 천문학적 예산이 드는 사업인 만큼 활주로, 고도제한, 주민민원 등을 고려해 후보지 중 예산과 민원이 가장 적은 지역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