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순수 민간기업 차원의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포항에 선보이며 건강한 산업생태계 육성을 선포했지만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대규모 구조조정을 진행 중인 포스코가 내부자금 사정 등으로 창조경제혁신센터에 대한 투자를 적극 지원하지 않을 경우 '빛 좋은 개살구'로 전락할 우려가 높다.
실제 포스코는 창조경제혁신센터 추진에 앞서 포항TP와 포항금속소재산업진흥원(POMIA),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등 포스코가 출연'보조한 기관이 지역에 많은데다, 추가로 자금을 지원할 상황이 아니라는 이유로 센터 건립에 대해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 전경련도 기업 사정을 고려해 '창조경제 활성화' 관련 사업에서 포스코는 제외해주기로 했던 상황이어서, 이번 포스코의 센터 건립이 정치권에 밀려 억지 춘향식으로 이뤄졌다는 뒷말이 많다.
이에 대해 포스코 측은 "일부 반대는 있었지만 전체적으로는 최선을 다해 운영하자는 분위기다. 센터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다양한 운영계획이 잡혀 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차별화된 형태로 운영'발전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기존에 자율적으로 운영해온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 벤처육성, 지역 경제 활성화 프로그램 등을 통합해 창업생태계 지원과 일자리 창출을 보다 체계적이고 유기적으로 연결하기로 했다. 또 혁신센터 내에 다양한 창업 준비업체들을 입주시켜 아이디어를 곧바로 사업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RIST와 포스텍, 포항TP 내 창업보육센터를 연계해 운영의 묘를 더할 방침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혁신센터가 예비창업자들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초기 단계부터 자금, 투자 연계까지 지원하는 창업 지원의 플랫폼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자금을 조성해 중소기업 연구개발(R&D)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17일 포항창조경제혁신센터 협약식에 참석해 "포항센터는 포항과 대한민국의 산업에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하는 모델로 생각한다. 특히 정부 주도가 아닌 민간이 자율적으로 만들어 가고 있다는 점에서 포항센터의 가치가 있다"고 했다.
포항 경실련 관계자는 "창조에는 항상 실패부담이 따른다. 실패를 줄이려면 주도하는 곳이 얼마나 의지를 갖고 있느냐가 중요하다. 센터가 포항에 들어선 이상, 기업과 지방자치단체가 강력한 의지를 갖고 지원을 펼쳐야 실효성 있는 운영이 가능하다"고 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내년 1월 포스텍 내에 연면적 약 2천㎡(600평) 규모로 조성되며 벤처아이디어 시뮬레이션과 모형제품 전시공간, 교육실 등이 들어서게 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