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25년 안에 대구 중'남구 인구 전체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통째로 사라질 위기에 놓일 만큼 대구 인구 감소세가 전국에서 가장 빠르다. 경북은 대구보다는 인구 감소세가 덜하지만 대구와 마찬가지로 인구가 계속 줄어드는 광역지방자치단체로 분류됐다. 앞으로 3년 안에 경북은 10명 중 2명이 65세 이상 노인인 '초고령사회'로 진입, 대구'경북이 국가적 재앙으로 불리는 '저출산'고령화 태풍'의 한가운데로 빨려 들어가고 있다.
이와 관련, 박근혜 대통령은 2020년까지를 우리나라 인구 위기 대응의 골든타임으로 규정, '국민 체감형 저출산 고령화 대책'을 즉각 마련하자고 촉구하고 나섰다.
통계청이 지난해 말 내놓은 장래 인구 증감 추이 분석을 보면 2040년이 되면 대구 인구는 220만4천여 명으로 감소, 2010년과 비교해 무려 10.84%나 줄어드는 것으로 추계됐다. 300만 명 규모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 부산(12.69% 감소)과 함께 전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이 줄어드는 지자체가 되는 것이다.
통계청은 현재의 인구를 바탕으로 연령대별, 가임 연령 여성, 인구 유출 추이 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해 인구 증감 추이 분석을 내놨다.
젊은 층의 이탈이 가장 많다는 점에서 역내 충격은 더 크다. 통계청에 따르면 대구의 유소년 인구(0~14세)는 2013년 35만5천 명에서 2040년에는 34.1%나 감소한 23만4천 명, 경북은 35만8천 명에서 24만2천 명으로 32.6%나 줄어든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대구시는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시는 앞으로 수립하는 모든 정책에 인구 관리 정책을 포함시키기로 했다. 이를 위해 최근 정책기획관을 팀장으로 대구경북연구원 박사 3명, 시청 사무관 등으로 구성된 TF팀도 꾸렸다.
이런 가운데 경북은 2010년 대비 2040년 인구가 0.57% 감소, 인구 감소세는 대구보다 덜하지만 노인인구가 폭증할 것으로 예측된다.
경북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지난해 말 기준 46만7천여 명(17.4%)으로 이미 고령화사회(전체 인구 대비 노인인구 14% 이상)에 진입했다. 경북은 2018년이 되면 노인인구 비율이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로 들어갈 것이 확실시된다.
도내에서 노인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의성군과 군위군은 노인인구 비율이 각각 35.3%와 34.7%로 인구 10명 중 4명이 이미 노인이다. 의성'군위뿐만 아니라 김천'영주 등 5개 시가 이미 초고령사회로 편입됐고 11개 군이 역시 초고령사회가 됐다. 23개 시군 가운데 절반이 훨씬 넘는 16개 시군이 초고령사회가 된 것이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6일 제4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1차 회의를 직접 주재, "내년부터 2020년까지 5년은 우리나라 인구 위기 대응의 골든타임"이라며 "지금 우리가 제대로 대응해야만 위기를 기회로 바꿔 지속 가능한 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다"고 했다.
최경철 기자 koala@msnet.co.kr
이호준 기자 ho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