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구미시민이 함께 쓰는 해평취수장 '상생의 물'

대구시민들의 안전한 식수 확보를 위해선 구미공단 상류로 취수원을 이전하는 사업이 필수 과제로 실현돼야 한다. 강정고령보 상류에서 바라본 매곡, 문산 취수장 전경. 매일신문DB
대구시민들의 안전한 식수 확보를 위해선 구미공단 상류로 취수원을 이전하는 사업이 필수 과제로 실현돼야 한다. 강정고령보 상류에서 바라본 매곡, 문산 취수장 전경. 매일신문DB

국토교통부의 '대구경북 맑은 물 공급 종합계획' 용역 결과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대구 취수원 구미이전에 대한 지역민들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대구 취수원 이전사업은 구미공단 상류지점으로 취수원을 옮겨 대구권역 주민들이 안전한 식수를 확보하자는 취지로 2009년부터 지방자치단체와 정부의 관심 속에 추진됐다.

하지만 취수원 이전에 따른 주민재산권 침해, 하천유지용수 부족 등을 이유로 한 구미시의 반대로 대구 취수원 이전은 7년이 되도록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했다. 대구 취수원 구미이전을 둘러싼 대구시와 구미시의 주요 쟁점 사항을 정리한다.

◆주민재산권 침해

국토부는 2009년 대구 취수원 이전 부지를 검토하면서 현재와 수질차이가 거의 없고 경제성이 우수한 구미 일선교 부근으로 정하고 예비타당성(이하 예타) 조사를 신청했다. 1.4 다이옥산 파동 이후 구미시 차원에서도 취수원을 일선교 부근으로 옮겨야 한다는 검토가 됐었다. 그러나 예타가 진행되자 구미시는 일선교 부근으로 옮길 경우 구미시 도개면, 옥성면, 선산읍, 해평면 일부 지역이 상수원보호구역으로 확대지정되게 돼 재산권이 침해될 우려가 높다며 강하게 반대했다.

하지만 국토부가 일선교로부터 12㎞ 떨어진 해평광역취수장(구미시 취수원)으로 대구 취수원 이전 부지를 바꾸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대구와 구미시민이 해평광역취수장을 공동으로 이용하자는 안이다. 한국수자원공사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해평광역취수장으로 취수원을 옮기더라도 이 일대가 이미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기 때문에 구미 시민들이 재산권 침해를 추가로 입을 우려가 없다.

◆구미지역 하천유지수량 부족에 따른 공업용수 공급 지장

국토부는 2009년 대구 취수원 이전을 위한 예타 조사를 기획재정부에 신청했다. 당시 기재부는 KDI에 예타 조사를 의뢰했고, KDI는 기존 안동'임하댐 만으로는 대구 취수원 이전 수량이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4대강사업에 따른 낙동강 보 설치와 군위댐(10만㎥'2011년 준공), 부항댐(10만㎥'2013년), 영주댐(56만㎥'2015년 완공 예정), 성덕댐(6만㎥'2014년)이 착공되는 것을 감안하면 하천유지수 부족 문제는 우려스러운 상황이 아니다.

신규 댐이 완공 될 경우 하천유지용수 확보로 대구 취수원 이전에 따른 용수 확보뿐만 아니라 하천유지용수에도 문제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도 물수지 분석을 한 결과 대구경북 취수원을 구미공단 상류로 이전하더라도 구미공단을 포함한 하류지역의 물 부족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했다.

◆구미지역 하천유지 수량감소에 따른 수질악화

구미시는 대구경북이 취수원을 해평광역취수장으로 옮겨 1일 68만㎥를 가져갈 경우 구미지역 하천유지수량에 부족현상이 발생, 구미지역 낙동강 수질오염이 가속화 될 것으로 걱정하고 있다.

하지만 수자원 분석 전문기관인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이 분석한 결과 현재 운영 중인 보에서 1일 57만㎥, 신규 건설된 4개 댐에서 1일 82만㎥의 물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구미 해평광역정수장은 133만㎥ 규모이지만, 실제 구미에서 쓰는 취수량은 26만㎥에 그친다. 대구 취수원을 구미 해평광역취수장으로 이전하더라도 대구 64만㎥와 칠곡'성주'고령 4만㎥를 충분히 공급하고도 남는다. 대구 취수원 이전에 따라 구미지역 하천유지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은 낮다. 이런 상황을 감안해 국토부 등 관련기관도 대구 취수원 이전이 구미지역 하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구미공단 상류 강변여과수 개발

국토부는 당초 대구 취수원 이전 부지로 구미시 일선교 부근을 추진하다가 해평광역취수장 공동이용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국토부는 해평광역취수장을 대안으로 검토하기 위해 종합계획검토용역비 10억원을 확보해 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용역을 실시했다. 수량'수질에 문제가 없고, 현재 취수시설이 133만㎥/1일로 충분한 여유가 있어 해평광역취수장을 대구시와 구미시가 공동이용하자는 안을 검토한 것이다.

그러던 중 구미 경실련 측에서 해평취수장에서 1㎞ 떨어진 상류지점의 낙동강변에서 식수원을 퍼올리는 강변여과수 공동개발을 제안했고, 국토부와 대구시가 전격수용했다.

구미시는 상수원보호구역 확장 등의 이유로 이를 반대하고 있으나, 수도법에 따르면 강변여과수를 개발할 경우 상수원 보호구역이 4㎞에서 2㎞로 축소되고, 행위제한구역도 대폭 완화된다는 게 국토부의 입장이다. 해평광역취수원(3천483억원)보다 강변여과수 공동개발(4천900억원)이 비용은 더 많이 들지만, 현재로선 대구와 구미 모두 수용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안이다.

최병고 기자 cb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