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구멍 뚫린 식품안전관리, 소비자는 두렵다

식품안전에 또다시 큰 구멍이 뚫렸다. 최근 한 축산물 유통업체가 가짜 식품안전관리 인증마크를 부착해 지역 관공서'학교'기업체 등 15곳에 식자재를 공급해오다 적발되면서 '해썹'(HACCP) 인증에 대한 소비자 불신이 커지고 있어서다. 이 업체는 심지어 대구 검찰 식당에도 이런 식으로 식품을 공급했다. 가짜 인증이 이렇듯 판을 치고 지명도 높은 식품업체들까지 공공연히 식품안전 규정을 위반하다 적발돼 소비자 불안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지난해 10월 식품 대기업인 동서식품이 대장균군이 검출된 40여t의 제품을 재활용해 시리얼을 만들다 적발된 것은 소비자에게 큰 충격이었다. 올 초에는 폐기처분할 계란을 제과'제빵회사에 원료로 공급한 계란가공공장까지 단속되면서 국민의 분노를 샀다. 이들 모두 해썹 인증을 받은 업체라는 점에서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 격이다. 해썹 인증을 받은 업체마저 식품안전기준을 대놓고 어기거나 가짜 인증마크를 붙여 소비자를 우롱한다면 사실상 안전한 먹거리는 없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해썹은 식품안전기준과 위생관리를 체계화한 식품안전관리인증이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식품안전 관리체계로 인정받고 있다. 국민건강진흥을 위해 2009년 국내에도 인증제를 본격 도입했다. 현 정부 출범과 함께 불량식품 근절이 4대 국정과제에 들면서 정부는 2014년 1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을 출범시키고 공공기관으로 지정했다. 국민이 신뢰하고 먹을 수 있는 제품을 생산하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인증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식품안전에 대한 경각심과 단속의 손길이 느슨한 틈을 노려 불량식품이 또다시 활개치고 있는 것은 매우 우려스럽고 개탄할 일이다. 식품제조업체나 공급업체 입장에서는 인증 절차가 까다롭고 비용 부담이 있겠지만 식품안전 기준은 누구나 반드시 지켜야 할 사항이다. 비용을 아끼기 위해 인증을 도용해 속이거나 불량 재료로 계속 식품을 만들어 팔 경우 국민건강과 생명까지 위협한다는 점에서 대충대충 눈가림식으로 넘어갈 일이 아니다.

당국은 가짜 인증마크로 소비자의 눈을 속이는 업체가 더는 없는지 일일이 현장을 조사하고 철저히 단속해야 한다. 위반 업체에 대해서는 법이 허용하는 한도에서 가차없이 처벌해야 한다. 먹는 식품으로 장난치는 못된 양심불량 업체가 더 이상 발붙이지 못하도록 발본색원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