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산모에 축적된 환경호르몬, '제대혈'로 태아에 전달"

포스텍 장윤석 교수팀 매커니즘 규명

엄마가 태아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환경오염물질을 전달하는 통로가 '제대혈'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태반과 탯줄 속에 있는 혈액인 제대혈은 조혈 줄기세포가 많이 포함돼 있어 미래 난치병 치료를 위해 따로 보관하는 중요치료제로 알려져 있었다. 이런 가운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제대혈이 중금속 등 환경호르몬을 태아에게 직접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도 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낸 것이다.

포스텍(포항공대) 환경공학부 장윤석 교수팀은 경북대병원과 공동으로 한 '산모와 태아의 독성 환경오염물질 노출과정과 체내 분포 연구'를 통해 오염물질이 태반에서 태아로 전달되는 메커니즘을 증명해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회가 발행하는 '환경과학기술'지를 통해 발표됐다. 환경오염물질이 제대혈로 유입되는 것을 태반의 장벽이 막고 있다고 기존 학계는 봤지만, 연구팀은 "수은이나 납 등의 중금속은 태반 장벽효과 없이 태아에게 그대로 전달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산모와 태아로부터 채취한 혈액과 태반조직 및 산모의 소변에서 납'카드뮴'수은 등의 중금속류와 다이옥신 유사물질이 동시에 검출됐다는 것. 특히 대부분 오염물질이 태반의 장벽효과로 태아에게 노출되는 양이 줄어들었지만, 예외적으로 수은 등은 산모의 혈액보다 제대혈에서 더 높은 농도로 검출돼 오염물질마다 산모와 태아에게 다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도 밝혀냈다.

장윤석 교수는 "산모에게 축적된 환경오염물질이 태아에게 그대로 전달된다는 것은 환경호르몬이나 중금속에 노출되면 다음 세대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포항 박승혁 기자 psh@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