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22일 메르스 사태 확산으로 큰 어려움을 겪는 지역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 대한 긴급 자금지원 등 경제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지역 금융기관의 협조로 1천850억원 규모의 자금을 마련해 서비스업종에 대한 금융지원을 늘리고 수출기업의 보증료'금리 감면, 대출금 상환유예 등 긴급 지원이 주 내용이다. 예기치 않은 비상 사태로 크게 위축된 소비를 진작시키고 경기 불씨를 되살리는 발 빠른 대책을 내놓은 것은 잘한 일이다.
이달 중순 메르스의 여파가 지역까지 미치면서 음식'숙박업과 전통시장, 여행업계 등 지역 소상공인들은 극심한 매출 감소에 시달리고 있다. 16일 대구에서도 첫 확진 환자가 나온 이후 주요 전통시장 매출이 30%가량 떨어지는 등 딱히 어디라고 할 것도 없이 지역 소비가 급속히 얼어붙었다. 게다가 중소 제조기업들은 원화 가치 상승 등 여파로 인해 수출길이 막히는 등 갈수록 시름이 깊어지는 상황이다.
대구시의 이번 대책이 세계적인 불황에 따른 수출 감소에다 메르스 사태까지 이중고를 겪고 있는 지역 업체에게 가뭄 속 단비가 되고 급한 불을 끄는 데 도움이 된다면 다행한 일이다. 하지만 메르스 사태가 단기간 내 종식될 수 있을지 판단하기 힘든 상황에서 단 한 번의 긴급 지원으로는 지역 경제에 밀어닥친 부정적 요소를 한꺼번에 모두 해소할 수는 없다. 당국은 지역경제에 나타나는 이상 징후를 수시로 모니터링해 기민하게 후속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가장 필요한 때, 꼭 알맞은 지원 등 종합 대책이야말로 파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대구시와 관계 기관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업계의 최대 애로점이 무엇인지 세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 현장에서 피부로 느끼는 문제점 등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지원 혜택이 골고루 미칠 수 있도록 신경 써야 한다. 메르스로 인한 타격이 가장 큰 전통시장이나 메르스 파장이 큰 남구를 중심으로 민관이 적극 소비 촉진에 나서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민관의 긴밀한 네트워크와 협력이 메르스 사태로 인한 지역경제 위축을 최소화하고 소비와 수출을 되살리는 길임을 다시 한 번 상기할 필요가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