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시 긴급 경제 활성화 대책, 효과 나도록 지속해야

대구시가 22일 메르스 사태 확산으로 큰 어려움을 겪는 지역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 대한 긴급 자금지원 등 경제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지역 금융기관의 협조로 1천850억원 규모의 자금을 마련해 서비스업종에 대한 금융지원을 늘리고 수출기업의 보증료'금리 감면, 대출금 상환유예 등 긴급 지원이 주 내용이다. 예기치 않은 비상 사태로 크게 위축된 소비를 진작시키고 경기 불씨를 되살리는 발 빠른 대책을 내놓은 것은 잘한 일이다.

이달 중순 메르스의 여파가 지역까지 미치면서 음식'숙박업과 전통시장, 여행업계 등 지역 소상공인들은 극심한 매출 감소에 시달리고 있다. 16일 대구에서도 첫 확진 환자가 나온 이후 주요 전통시장 매출이 30%가량 떨어지는 등 딱히 어디라고 할 것도 없이 지역 소비가 급속히 얼어붙었다. 게다가 중소 제조기업들은 원화 가치 상승 등 여파로 인해 수출길이 막히는 등 갈수록 시름이 깊어지는 상황이다.

대구시의 이번 대책이 세계적인 불황에 따른 수출 감소에다 메르스 사태까지 이중고를 겪고 있는 지역 업체에게 가뭄 속 단비가 되고 급한 불을 끄는 데 도움이 된다면 다행한 일이다. 하지만 메르스 사태가 단기간 내 종식될 수 있을지 판단하기 힘든 상황에서 단 한 번의 긴급 지원으로는 지역 경제에 밀어닥친 부정적 요소를 한꺼번에 모두 해소할 수는 없다. 당국은 지역경제에 나타나는 이상 징후를 수시로 모니터링해 기민하게 후속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가장 필요한 때, 꼭 알맞은 지원 등 종합 대책이야말로 파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대구시와 관계 기관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업계의 최대 애로점이 무엇인지 세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 현장에서 피부로 느끼는 문제점 등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지원 혜택이 골고루 미칠 수 있도록 신경 써야 한다. 메르스로 인한 타격이 가장 큰 전통시장이나 메르스 파장이 큰 남구를 중심으로 민관이 적극 소비 촉진에 나서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민관의 긴밀한 네트워크와 협력이 메르스 사태로 인한 지역경제 위축을 최소화하고 소비와 수출을 되살리는 길임을 다시 한 번 상기할 필요가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