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현장에 지나친 부담을 준다는 지적을 받는 교원평가제도가 간소화될 전망이다.
교육부는 1일 3개의 교원평가를 2개로 줄여 교원의 부담을 줄이는 교원평가제도 개선방안 시안을 발표했다. 기존의 근무성적평정과 성과상여금평가를 교원업적평가(성과평가)로 통합하고 교원능력개발평가(전문성 평가)는 현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 핵심이다.
3가지 교원평가에서 학습지도'생활지도 등 중복된 영역이 있어 비효율적이고, 잘 가르치는 교사보다 연공서열에 의한 평가가 이뤄진다는 현장의 문제제기에 따른 것이다.
또 학교를 등급으로 나눠 성과급을 차등지급하는 학교성과급 제도는 학교간 경쟁을 유발한다는 주장을 수용해 폐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또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시'도교육청 중심으로 자율적으로 시행하고 초등학생(4∼6학년) 만족도 조사의 폐지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그동안 초등학생이 교사를 평가하는 것은 감정적 평가가 되기 싶고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교육부는 시'도교육청의 의견을 수렴한 뒤 최종안을 확정하고 내년부터 연차적으로 시행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석수 기자 ssl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