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밭이나 차 가공공장 같은 인프라 하나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대구에서 차 문화가 발달할 수 있었던 것은 순전히 '인(人)프라' 덕이었다.
1970년대 무렵 싹이 튼 대구의 차 문화는 1980, 90년대 들어오면서 전성기를 맞게 되었다. 전국에서 사범이 제일 많은 곳이 대구였고 전국 총회가 열리면 주요 보직은 으레 대구 차인의 몫이었다. 대구의 차맥을 이어온 지역의 차 단체, 차인들을 소개한다.
▷홍익차문화원=차샘 최정수 원장이 2000년 개원한 이 단체는 정신과 철학, 예술을 망라하는 다도종합센터로 부를 만하다. 그동안 많은 문하생을 배출했으며 정규과정으로 입문, 연구, 사범, 교수반과 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종정차회=우리의 전통차를 알리는 데 공헌한 다농 이정애(2014년 작고) 씨가 1975년 설립한 단체. 이곳에서 뻗어 나온 단위 차회만 20여 곳이 넘고 대구경북에 많은 차인이 배출됐다. 2대 정금선 씨에 이어 지금은 이강려 씨가 이사장을 맡고 있다.
▷청백문화원=지역 차 문화의 발전을 위해 배근희 씨가 1983년 설립했다. 지금은 2세인 김길령 씨가 대를 잇고 있으며 일연선사 추모다례전, 원효선사 탄생다례전을 매년 열어왔다. 원광대와 MOU를 맺고 석사반, 전문반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차연합회= '지방화 시대 차문화 부흥'을 슬로건으로 1998년 발기인 총회를 열었다. 이홍욱 이사장(대구가톨릭대 교수)이 단체를 이끌고 있으며 부설기관인 '우리차문화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영남차회=최정수(현 홍익차문화원장) 씨를 초대회장으로 1986년 출발했다. 30년 전통의 권위 있는 차회로 그동안 많은 차인을 배출했다. 생활녹차 행다법과 차와 웰빙 등 전반적인 교육에 주력하고 있으며 예정수 씨가 이사장을 맡고 있다.
한상갑 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