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14일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사퇴로 공석이 된 차기 원내대표를 선출한다.
새누리당은 9일 '원내대표 및 정책위의장 선출 선거관리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서상기 위원장 주재로 첫 회의를 열어 이를 확정했다. 선관위는 김회선'염동열'정용기'신경림'이운룡'문정림 의원 등 총 7인으로 구성됐다.
이에 따라 원내대표직을 둘러싼 경쟁도 한층 달아오르는 분위기다. 일부 인사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원내대표를 합의 추대 방식으로 선출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김무성 대표 등 최고위원들도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합의 추대 방식으로 차기 원내대표를 선출하는 데 뜻을 모았다. 유 전 원내대표의 거취 논란으로 당내 갈등이 불거진 상황에서 합의추대가 아닌 경선을 통해 원내대표를 선출할 경우 당내 갈등이 더욱 격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선출 방식은) 의원총회에서 합의를 봐야 한다"며 "최고위원들의 의견만 있을 따름이지 결정된 사항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유 전 원내대표와 러닝메이트였던 원유철 전 정책위의장도 함께 물러나는 만큼 정책위의장도 새로 뽑는다.
차기 원내대표 후보로는 계파색이 옅은 원유철 현 정책위의장(경기 평택갑)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3선의 주호영 의원도 거명되고 있다. 그는 친이(친이명박)계이지만 박근혜 대통령의 특보를 지내 당청관계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이날 오전 있었던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최고위원들은 원 의장이 지금까지 유 전 원내대표와 함께 일해오던 연속선상에서 앞으로의 일을 해나가는 게 제일 나을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원 의장을 새 원내대표로 추대할 경우 유 전 원내대표를 배려하면서 당내 화합을 이루는 카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총선을 불과 1년 앞두고 공석이 된 원내대표직에 도전장을 내려는 의원들이 적지 않은 분위기여서, 경선을 통한 차기 원내대표 선출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최두성 기자 ds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