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취임 1주년 기자회견에서 내년 4월 총선 승리를 최고의 목표로 꼽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두 개의 축을 제시했다.
18, 19대 총선에서 높은 지역구 지지율을 기록하고도 연거푸 공천 탈락이라는 쓰라린 경험을 가진 김 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를 '정당 민주주의 완성'으로 규정했다.
◆공천 개혁=김 대표는 우선 지난해 7'14 전당대회에서 "공천권을 행사하지 않기 위해 당 대표가 되려고 한다"는 자신의 공약을 상기시키며 오픈프라이머리 실행을 통한 공천 혁명을 다시 한 번 약속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진두지휘했던 지난해 7'30, 올해 4'29 재'보궐선거의 압승 요인도 이런 상향식 공천으로 꼽았다.
특히 기존의 '줄 세우기식' 공천을 "만악의 근원"이라고 규정지으면서, 공천 문제만 해결되면 정치권 부조리와 부정부패의 90%는 없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과거와 같은 공천권 행사가 계파 갈등을 촉발하고 당의 체질을 허약하게 하는 '암 덩어리'와 같은 존재라는 인식인 셈이다.
이미 당론 채택을 주도했던 김 대표는 공천 개혁을 이뤄내기 위해 야당에도 오픈프라이머리를 같은 날 동시에 실시하자고 제안했다.
여당만 오픈프라이머리를 실시할 경우 상대 당 지지자가 본선을 대비해 전략적으로 가장 약체 후보를 선택하는 이른바 '역선택'의 우려를 제기하는 당 일각의 반대를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오픈프라이머리가 전격 도입될 경우 결과적으로 청와대와 친박(친박근혜)계의 공천 지분권을 인정하지 않게 돼 또다시 계파 간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혁신만이 살길=당 대표 선출 직후 잠재적 대권 경쟁자인 김문수 전 경기지사를 보수혁신특위 위원장으로 임명하고 ▷불체포특권 포기 ▷출판기념회 금지 ▷무회의 무세비 원칙 적용 ▷겸직 금지 강화 등 '특권 내려놓기'를 실천한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 나왔다.
가치 혁신의 지향점으로는 '포용적 보수', '서민적 보수', '도덕적 보수', '책임지는 보수' 등을 제시했다.
이처럼 총선 승리를 위한 혁신을 거듭 강조한 것은 여권 내 가장 강력한 차기 주자로 자리 잡은 김 대표가 자신의 경쟁력을 입증하는 동시에 박근혜 대통령으로부터 '홀로서기'를 하기 위해서는 총선 승리가 필수적이라는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여겨진다.
김 대표는 또 새누리당의 앞으로 항로를 '3고'(후진 정치를 바꾸고, 어려운 경제를 살리고, 선거에서 승리하고)라고 강조했다. 최두성 기자 황수영 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