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 공급이 전체 물량의 9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 이후 처음이다. 분양시장의 '중소형 선호, 중대형 기피' 현상이 훨씬 심해진 것이다.
18일 부동산114 분양 통계에 따르면, 올 들어 10월 현재까지 분양물량(재건축'재개발 등 조합원주택 포함)은 총 33만8천674가구로 지난해 1년치 분양물량(33만854가구)을 넘어섰다. 이 가운데 전용 85㎡ 이하 중소형이 총 31만3천912가구로 전체의 92.7%에 달했다.
과거 전용 85㎡ 이하 비중은 2000년 71.8%에서 2001년 80.9%, 2002년 83.8%까지 증가했다가 이후 2006년 66.3%, 2007년에는 최저치인 63.5%까지 줄었다.
2005년 8'31 부동산 대책으로 중대형 공급은 늘고 중소형 공급은 축소됐기 때문이다. 전용 85㎡ 초과 중대형 물량 비중은 2000년 28.2%였으나 8'31 대책이 나온 이듬해인 2006년 33.7%, 2007년 36.5%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택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중대형을 중심으로 미분양'미입주 등 부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다시 중소형 공급이 늘기 시작해 2013년 88.8%, 지난해 89.8%에 이어 올해 90%를 초과한 것이다. 중대형은 2010년 18.9%, 2013년 11.23%, 2014년 10.2%로 줄더니 올해 10월 현재 전국적으로 2만4천762가구만 분양돼 7.31%로 감소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