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헤럴드가 파견한 통신원 스탠리는 1871년 11월 10일 영양실조와 말라리아로 거의 죽음을 눈앞에 둔 처참한 모습의 리빙스턴을 발견했다. "리빙스턴 박사님이시죠?" "예, 당신을 이곳에서 만나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지금도 서양인들은 이 짧은 대화에서 감동을 느낀다고 한다.
리빙스턴이 16년 만에 아프리카로 돌아온 1856년 그는 이미 영국의 국민적 영웅이었고, 이 7만 권이나 팔려 부와 명예를 한꺼번에 거머쥔 유명 인사였다. '빅토리아 폭포'란 명칭으로 여왕의 이름을 후세에 영원히 알린 것도 그였다. 뉴욕헤럴드가 1866년 실종된 그를 찾아 나선 것도 이런 명성 때문이었다. 극적인 만남 후 스탠리는 5개월 만에 떠나고 리빙스턴은 현지에 남아 나일강의 수원을 찾다가 1873년 5월 1일 오두막에서 무릎을 꿇고 기도하는 모습으로 숨을 거뒀다. 노예무역을 뿌리 뽑고 선교 여행을 하기 위해 아프리카로 온 지 33년의 세월이 흐른 뒤였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4대강 재자연화 외친 李 정부…낙동강 보 개방·철거 '빗장' 연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김현지, 국감 첫날 폰 2번 바꿨다…李 의혹때마다 교체 [영상]
나경원은 언니가 없는데…최혁진 "羅언니가 김충식에 내연녀 소개"
냉부해 논란 탓?…李 대통령 지지율 52.2%로 또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