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초청으로 관광명소를 체험한 중국 파워블로거들은 "대구는 물가가 싸고 인정이 넘치는 도시"라고 했다. '2015 대구시 중국 파워블로거 초청 팸투어' 행사에 참석한 음식·관광·패션·뷰티 등 부문별 파워블로거들은 앞산 전망대에서 본 노을과 야경 및 동성로 패션주얼리타운 은반지 만들기 등 대구의 숨겨진 관광자원 체험에 호감을 나타냈다.
초청객들이 남긴 예의상 '덕담'일수도 있겠지만, 그 말 속에서도 우리는 '대구경북 방문의 해'를 앞두고 중국인 관광객(유커) 유치를 위한 일말의 해법이라도 찾아야 한다. 그것은 이미 서울과 제주도를 방문한 적이 있는 중상류층과 개별관광 및 특별한 관광상품을 추구하는 신세대를 겨냥한 맞춤형 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유커들은 목적지의 특색에 주목하며 체험과 쇼핑, 건강을 추구한다. 이 같은 한국관광 트렌드를 고려할 때 대구경북 지역을 아우르는 특화된 관광상품과 다양한 문화자원을 주제별로 결합하는 융복합 프로그램 발굴·개발은 필수적이다. 경북의 풍부한 자연자원과 역사문화자원을 대구의 쇼핑과 의료 등 도시적인 관광자원과 연계해서 차별화한 관광상품을 만들어야 한다는데 이설이 있을 수 없다.
대구경북은 강과 산, 바다가 어우러진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청정자연은 유커들의 산림 치유와 폐세척 관광에도 적격이며, 유불선(儒佛仙)이 혼재하는 인문 문화의 심층성은 모든 중국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관광 자산이다. 파워블로거들이 지적했듯이 대구경북민들의 순후한 인심을 활용하고, 시·도와 각 시·군이 교류하고 있는 중국의 성·시·현과의 '관시'(關係)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문제는 구체적 방안 설정과 소프트웨어 개발이다. 대구시와 경북도 그리고 각 시·군·구청이 각계의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 실현 가능한 관광상품을 완성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조국·정경심 이어…'위안부 횡령' 윤미향도 특사 대상 포함
'전대 소란' 논란에... "전한길, 모든 전당대회 출입 금지"
"배신자" "음모론자" 두 쪽 나버린 국민의힘 대구경북 합동연설회
'시진핑·中대사 얼굴' 현수막 찢었다가…尹 지지단체 입건
국힘, '전당대회 방해' 전한길 징계 절차 개시…"조속히 결론"